일본 정부가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하는 도쿄 지역에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키로 방침을 정했다. 이에 따라 23일 부터 시작되는 도쿄올림픽이 무관중 경기로 치러질 것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교도통신은 7일 일본 정부가 도쿄에 다음달 22일까지 적용되는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한다는 방침을 여당 측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8일 코로나19 대책본부회의를 열고 도쿄, 오사카 등 10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에 방역대책으로 적용 중인 ‘만연 방지 등 중점조치’보다 단계가 높은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할 지에 대해 결정할 예정이다.
스가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대응 업무를 맡은 각료들과 대책을 논의한 후 취재진에 “도쿄의 감염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만전의 체제로 감염을 억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간이나 구체적 대책에 대해서도 내일 결정할 생각”이라 덧붙였다.
일본 언론은 스가 총리가 ‘만전의 체제’로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겠다고 언급한 점 등을 근거로 도쿄에 긴급사태가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도쿄도는 신규 확진자가 하루 500명을 웃돌면 긴급사태 선포 상황(폭발적 확산)으로 분류하는데, 이날 기준 도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20명을 기록했다. 도쿄엔 지난해 4월 이후 지금까지 긴급사태가 3번 선포됐고 마지막 긴급사태는 지난달 21일 해제된 바 있다.
도쿄 지역에 긴급사태가 재선포될 경우 도쿄올림픽은 모든 경기가 무관중으로 개최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도쿄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가 참여하는 올림픽 5자 회의에선 8일 코로나19 대책본부회의 결과에 맞춰 관중 수용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앞서 지난달 21일 열린 5자 회의에선 경기장 정원 50% 이내에서 최대 1만명까지 수용한다는 결정을 내렸고, 이달 12일 이후로도 긴급사태나 중점조치가 적용되는 상황이면 무관중 개최를 포함한 대책을 논의하기로 한 바 있다.
정우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