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동 포스코 사장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확산을 위해 경쟁국가 수준의 인센티브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 사장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7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국회 포용국가 ESG포럼 K-ESG 얼라이언스 연석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특별강연에 나선 김 사장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을 기반으로 한 2030년 20%, 2040년 50% 등 탄소감축 로드맵을 소개했다. 포스코는 사업장 감축 및 사회적 감축을 위해 고장력 자동차강판, 고효율 전기강판, 재생에너지 강재 등 친환경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탄소중립이 새로운 무역장벽이 되고 있다”며 “수소환원제철 등 분야에서 경쟁국가나 글로벌 경쟁사 수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국 지원규모는 EU 1조 유로(2030년까지), 미국 2조 달러(2025년까지), 일본 30조 엔(2025년까지)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어 “탄소중립에 도달할 때까지 경쟁국·경쟁사와 비교해 과도한 규제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경련은 당·정·민간 대표들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 K-ESG 얼라이언스 회원사 등 의견을 수렴해 ESG 친환경경영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를 건의하기도 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