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개막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지금쯤이면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과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정해졌어야 하지만 여전히 깜깜이 상태다. 청와대는 이미 대통령의 개막식 참석과 관련해 열린 자세를 갖고 있다는 입장을 여러 번 밝혔다. 그렇다면 개최국 일본이 외교 프로토콜에 따라 문 대통령을 정식으로 초청하는 게 당연한 수순이다. 아울러 개최국 정상이 축하사절로 온 외국 정상과 회담을 하는 게 국제관례인 만큼 한국에 정상회담도 제안해야 한다. 문 대통령이 3년 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온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회담을 한 것에 비춰서도 이번에 회담을 하는 게 외교적 상호주의에 부합한다.
그런데도 일본은 아직 성의 있는 제안을 하지 않고 있다. 오죽하면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7일 방송에서 “이제 일본이 ‘정상회담 하자’ ‘이런 의제로 해보자’고 답을 주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답답함을 호소했을까. 일본의 소극적 태도는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자국 내 우익의 눈치를 보느라 문 대통령과의 회담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같은 이유로 이미 지난달 영국에서 열린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도 문 대통령을 대놓고 무시했었다.
스가 총리는 이런 협량한 태도를 버리고 문 대통령과의 회담에 나서야 한다. 자국의 잔치를 축하하러 가겠다는 이웃나라 정상을 회담이 하기 싫어 문전박대한다면 국제적으로도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특정 지지층 때문에 응당 해야 하는 외교를 거부하는 것부터 잘못된 태도다. 우리 정부도 회담이 성사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복잡하게 얽힌 실타래를 풀어내려면 실무 차원으로는 한계가 있고 정상 간 대화로 교통정리를 할 필요가 있다. 회담을 하면 뭔가 성과를 내야 할 테지만 그동안 만남 자체가 뜸했던 만큼 성과의 눈높이를 낮춰서라도 만나야 한다. 평화의 축제라는 올림픽을 앞두고 대한해협에서부터 평화의 바람이 불기를 바란다.
[사설] 올림픽 보름 앞… 한·일 모두 정상회담 성사 최선 다하길
입력 2021-07-08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