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자 1000명 돌파… ‘4차 유행’ 현실화

입력 2021-07-07 04:00
6일 오후 서울 마포구 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4차 유행’이 결국 현실화됐다. 6개월 만에 하루 확진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서자 전문가들은 정부에 쓴소리를 쏟아냈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방역 완화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이번 사태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고작 10% 남짓 백신 접종을 완료했는데 ‘백신 분위기’에 취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우리보다 먼저 백신 접종을 시작한 국가에서도 백신을 믿다가 유행이 재확산하기도 했는데, 우려가 현실이 된 셈이다.

6일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총 1145명이었다. 전날 같은 시간에 집계된 659명보다 486명 많았다. 일일 확진자 수가 1000명대를 기록한 것은 3차 대유행이 진행 중이던 지난 1월 4일 집계(1020명) 이후 6개월 만이다.

현재 유행 확산세는 2차 유행보다도 속도가 빠른 것으로 진단된다. 지난달 28일 집계된 확진자가 501명이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9일 만에 더블링(배 증가)이 됐다. 지난해 12월 3차 유행 초기에 확진자가 더블링되는 데 2주가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훨씬 빠른 것이다. 자정까지 집계를 마감해 7일 오전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1200~1300명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유행은 지난번보다 수도권 쏠림현상이 뚜렷해 더욱 우려된다. 인구가 밀집한 지역인만큼 감염의 연결고리를 줄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집계된 확진자의 85.2%(975명)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특히 서울은 신규 확진자가 이 시간까지 568명을 기록해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 이날 전까지 서울에서 일일 확진자가 가장 나왔을 때는 지난해 12월 24일(552명)이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백신 접종으로 인한 기대감을 지나치게 심어준 것이 화근이라고 지적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달 중순이 지나면서부터 위험신호는 있었다”며 “우리가 안심할 수 있는 수준까지 접종률이 올라가지 않았는데도 정부가 6월부터 야외 마스크 미착용 등을 거론하며 방역 완화 메시지를 냈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도 “(1000명은) 전부터 시간문제라고 했다”며 “델타형 변이의 유입과 정부가 주는 방역 완화 시그널 탓이 크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델타 변이의 확산세가 워낙 거세기 때문에 변이 확산을 저지할 정도로 백신 접종률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는 조금의 신호로도 방역의 균형이 깨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백신접종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이스라엘과 ‘백신 교환(스와프)’ 협약을 맺고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70만회분을 7일 받기로 했다. 7월 접종 일정을 최대한 앞당겨 유행에 대응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백신은 13일부터 서울·경기도의 자체접종(34만회분), 어린이집·유치원·초교 1~2학년 교직원 및 돌봄인력(38만명)에게 접종된다.

최예슬 송경모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