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군기시·궁중의례 AR·VR로 재현

입력 2021-07-07 04:06

조선시대 군수물자 제조를 담당했던 ‘군기시(軍器寺)’(사진)가 철거 100년 만에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술로 되살아난다. 경복궁의 궁중의례도 AR로 재현된다.

서울시는 6일 문화재청, 우미건설, 제일기획과 함께 지금은 사라진 ‘군기시’와 ‘경복궁 궁중의례’를 AR·VR 등 디지털 기술로 복원·재현하고, 문화관광 융·복합 체험 콘텐츠로 개발해 내년부터 선보인다고 밝혔다.

군기시는 1392년 조선 건국 당시 설치돼 군수물자 제조를 담당한 관청으로, 현재 서울시청(신청사) 일대에 위치했으나 1884년에 폐지됐다. 2009년 서울시청 신청사 건축 과정에서 관련 유물이 대량 발굴됐다.

이번 기획은 2019년 돈의문(敦義門) AR·VR 복윈에 이은 디지털 문화유산 복원 프로젝트다.

군기시 유적전시실이 있는 서울시청 지하 1층 내·외부를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옛 군기시의 내·외부 모습을 AR로 생생하게 볼 수 있고, VR기기로는 군기시 전체 모습을 조망할 수 있도록 재현한다. 유적전시실 내에 잔존한 유적 5채도 복원한다. 세계 최초 로켓 무기인 신기전(神機箭)을 비롯해 군기시에서 개발된 전통무기류를 체험해볼 수 있는 콘텐츠도 기획 중이다.

아울러 경복궁 안에서 스마트폰을 비추면 궁중의례 장면이 화면에 재현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서울시는 앞서 출시한 ‘돈의문 AR’ 앱의 기능을 확장해 하나의 앱으로 돈의문·군기시·경복궁 궁중의례를 모두 체험할 수 있도록 해 개별 디지털 문화유산을 통합적으로 연결 융복합되하는 ‘헤리티지 유니버스(Heritage Universe)’를 구축할 계획이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