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손쉬운 소비자 대환대출을 위해 오는 10월 ‘비대면·원스톱 대환대출 플랫폼(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지만 정작 핵심사업자인 시중은행의 반발이 거세다. 대출 상품은 은행이 판매하는데 빅테크 위주의 플랫폼 기업들이 사업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금융위는 6일 간담회를 소집해 은행 달래기에 나섰지만 가뜩이나 빅테크 기업의 금융사업 확장에 경계감을 갖고 있는 은행업계 반감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은 모바일 앱이나 웹사이트 등에서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 금리를 한눈에 비교해 금리가 낮은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게 도와주는 인프라 사업이다. 토스,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빅테크의 높은 수수료 기조가 유지된다면 굳이 그들의 플랫폼 사업에 합류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NH농협은행도 금융위에 빅테크 주도의 플랫폼 사업에 대한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신한·우리·하나은행도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상황을 지켜보는 상황이다.
은행 입장에서 이번 사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빅테크 종속화’의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것이다. 대출마저 빅테크를 통해 비교·실행하게 되면 은행 상품들이 카카오나 토스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일종의 ‘산하 사업’으로 전락해버릴 수 있다는 우려다. 이렇게 되면 은행은 빅테크와의 플랫폼 주도권 싸움에서 크게 뒤처질 수밖에 없다. 특히 종합금융플랫폼을 표방하는 KB국민·신한은행의 반발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높은 수수료율도 문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빅테크의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수수료가 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이 비용의 일부분이라도 고객이 부담하게 될 텐데, 이러면 이득을 보는 쪽은 빅테크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플랫폼 참여자들 사이에서 수수료를 둘러싼 대화가 이어지고는 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가 내놓은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사업이 빅테크 기업에만 지나치게 유리하다는 불만도 적지 않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애초에 빅테크와 은행은 근본적으로 경쟁 관계인데, 이런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 앞으로는 경쟁이라 부르기도 민망한 불공정 상태가 된다”면서 “빅테크가 이번 사업에서 하는 역할은 상품 중개밖에 없는데, 상품은 우리가 만들고 왜 수수료는 그쪽(빅테크)이 걷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그렇다고 은행이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자체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관계자들은 빅테크 주도 플랫폼 사업의 대안으로 공공기관이나 전국은행연합회가 주도해 만드는 ‘제3의 플랫폼’이 나온다면 얼마든지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시중은행의 우려 사항을 종합해 빅테크와 무관한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금융위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답변이 오기까지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