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번번이 제외됐던 ‘전주~김천간 철도건설사업’이 다시 추진될 수 있는 한줄기 빛을 얻었다.
전북도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전주~김천간 철도건설사업’이 사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반영됐다고 6일 밝혔다. 정부의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된 24개 가운데 사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유일하게 선정됐다. 도는 관련 용역비 예산 5억원 확보와 조속한 조사 추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2006년부터 전주~김천간 101.1㎞를 잇는 철도 건설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하지만 1~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추가검토사업으로만 반영됐다.
도는 4차 국가철도망 사업계획에 이 철도 건설이 단순히 전주~김천을 잇는 연결노선만이 아니라 새만금부터 김천, 대구, 부산·울산·경남(약 400㎞)을 아우르는 동서화합의 오작교 역할을 할 것이란 점을 내세웠다.
또한 기존 철도선과 같은 여객 수송만이 아닌 영·호남간 물류, 경제, 산업, 관광 활성화를 통한 미래지향적인 신경제벨트로서 동서간 상생 지역 발전을 이끌 수 있는 국가 기간철도망이라고 평가했다. 사업비는 2조5233억원으로 추산됐다.
도는 4차 국가철도망 사업계획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사전타당성조사 대상이 된 것만으로도 이미 포함된 다른 신규 사업과 동등한 사업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훈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1∼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서 추가 검토사업 중 사전타당성 조사 추진을 명시한 사례는 없었다”며 “고무적인 상황인 만큼 정치권과 협업해 대선 공약사업에 반영하는 등 15년 넘게 표류해 온 전주∼김천 철도망 구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난달 29일 제4차 국가 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을 확정하면서 전북도와 다른 지자체가 공동으로 건의한 전라선(익산∼여수) 고속화 철도와 대구∼광주 달빛내륙철도 등 2개 사업을 반영했다. 하지만 전주∼김천 철도,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철도, 새만금∼목포 철도, 익산역 유라시아철도 거점역 등 4개 사업은 배제해 ‘전북 패싱’ 논란이 일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