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사진) 금융위원장이 지나친 레버리지 투자에 대해 ‘민간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통화 당국의 금리 인상 등에 앞서 가계 스스로 재무건전성을 점검해야 한다는 의미다.
은 위원장은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금융기조의 변화가 빨라질 수 있다는 신호가 도처에서 감지되고 있다”며 “가계와 기업은 금융여건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 자체적인 테이퍼링, 즉 민간 스스로 과잉부채와 위험추구 행위를 정상화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금리가 올라도 상환능력에 문제가 없는지 재무건전성을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의 과잉 유동성에 따른 ‘빚투’, ‘영끌’ 투자가 확대된 상황에서 금리 인상 충격을 버틸 수 있을지 투자 주체 스스로 점검해야 한다는 뜻이다. 은 위원장은 “가파르게 증가한 민간부채, 빠르게 상승한 자산가격은 글로벌 긴축과 맞물려 또 다른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경제부문 간 회복속도의 격차에도 주목해야 한다”며 “우리 경제에 깊게 팬 상처로 생기지 않도록 위기대응 과정에서 누적된 후유증들을 섬세하게 치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방어를 위해 불안 심리 진원지인 주식시장의 안정과 영세 자영업자 지원에 우선순위를 두었다고 밝혔다. 또 ‘175조원+α’ 규모의 방화벽(민생·금융안정 프로그램)을 구축해 공포감 확산을 저지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돌아봤다.
은 위원장은 “과감한 정책대응으로 금융시스템이 안정되고, 자영업자·중소기업이 유동성 고비를 넘겼다”며 “그 결과 지난해 역성장 폭을 최소화할 수 있었고, 주식시장은 역사적 최고치를 연이어 갱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시스템 위기 발생에 대비해 자본확충펀드, 부실채권 매입기구 등을 준비했으나 이를 가동하는 상황까지 가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 위기대응이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고 자평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