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유행, 타지역 번질 수도”… 휴가철 앞두고 비수도권 긴장

입력 2021-07-06 04:06
5일 서울 동작구의 코로나19 백신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1차 접종을 마친 한 요양센터 관계자가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을 받고 있다. 이날부터 상반기 AZ 백신 1차 접종자 중 161만여 명에 대해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을 맞는 교차 접종이 실시된다. 이한결 기자

수도권 코로나19 유행이 여름 휴가철을 계기로 비수도권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도권 방역조치를 피해 비수도권 주점 등으로 ‘원정’을 가는 사례가 많아 비수도권 역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1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국내 확진자 644명 중 81.8%(527명)는 수도권에서 나왔다. 서울에서만 301명을 기록했다. 델타형(인도) 변이 확진 사례는 전날 누적 기준 416명이었다. 지난달 26일(263명)과 비교하면 8일 만에 1.5배 이상 규모로 불어났다.

방역 당국은 수도권의 유행이 확대될수록 비수도권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특히 여름휴가철이 관건이다. 비수도권은 거리두기가 대폭 완화된 상태라 감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이날 “방학과 휴가로 지역 간 이동이 늘어나며 수도권 유행이 비수도권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며 “비수도권은 사적모임 인원 제한과 다중이용시설 등의 운영시간 제한을 완화하고 있어 모임·행사를 통한 감염 위험도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비수도권은 충남을 제외하고 대체로 8명(제주 6명)까지 사적모임 인원을 제한하고 있다. 이행기간이 지난 후인 오는 15일부터 본격적으로 새 거리두기 1단계를 적용하면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아예 사라지는 등 방역조치가 추가로 완화된다. 지난달부터 새 거리두기를 시범운영하고 있는 경남 경북 강원 전북 일부 지역은 자유롭게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수도권 거주자의 이동 자제를 요청할 예정이고 휴가는 분산해서 소규모 단위로 집중되지 않도록 이용해 달라고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수욕장은 야간에 음주가 금지된 곳도 꽤 많고, 유원지에 대해서 인원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각 지자체가 시기별로 지역 현황을 보면서 탄력적으로 방역조치를 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유행이 안정될 때까지 비수도권도 거리두기를 격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정부와 전문가 모두 회의적인 반응이다. 손 반장은 “비수도권에 대해 사적모임 제한을 더 강화할 여지는 없을 것 같다”며 “비수도권은 환자 증가 양상이 두드러지지 않고 통제되는 상황에서 생업시설을 규제하면 수용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긴다”고 밝혔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어느 지역에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딜 가든지 개인 방역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도 “비수도권까지 방역조치를 강화하면 국민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역사회에서 면역을 형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예방접종률이 올라갈 때까지 방역수칙을 잘 지키며 버티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