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사건 처리에 굉장한 압력” 尹, 文정부에 직격탄

입력 2021-07-06 00:05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서울대 공대에서 주한규 원자핵공학과 교수와 마주 앉아 대화하고 있다. 윤 전 총장은 주 교수와 면담한 후 기자들에게 “(탈원전 정책이) 국민의 합당한 동의와 사회적 합의에 의해 추진된 것인지 의구심이 많다”고 했다. 최종학 선임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총장직을 그만두게 된 것 자체가 월성원전 사건 처리와 직접 관련이 있다”며 수사 지휘 당시 정권 차원의 직간접적 외압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정부의 주요 정책인 탈원전 정책 비판 행보에 나서면서 자신의 정치 참여 명분도 강조한 뜻으로 풀이된다.

윤 전 총장은 서울대에서 주한규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면담한 후 기자들과 만나 “월성원전 사건이 고발돼 저희가 대전지검에 전면 압수수색을 지휘하자마자 (저에 대한) 감찰과 징계 청구가 들어왔고, 사건 처리에 대해서 음으로 양으로 굉장한 압력이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전 총장은 그러면서 “저는 ‘검수완박’이라 하는 검찰수사권 (완전) 박탈이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계기로 해서 이뤄진 것이라 봤다”며 “제가 더 이상은 자리에 앉아 있을 수 없다 판단해 나왔고, 결국 정치 참여 계기 역시 월성원전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윤 전 총장이 직접 여권의 압력이 있었다는 것을 폭로한 건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근본적 문제가 있음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월성원전 사건은 지난해 10월 감사원이 월성원전 1호기 조기폐쇄 및 경제성 조작 의혹 감사 결과를 내놓으면서 점화됐다. 직후 국민의힘이 감사 결과를 토대로 백 전 장관 등에 대한 고발장을 검찰에 냈고, 감사원도 수사를 의뢰했다.

윤 전 총장은 야권 잠룡으로 꼽히는 최재형 전 감사원장도 거론했다. 그는 “최 전 원장께서 정치에 참여할지 모르겠지만 원장을 그만둔 것 역시 월성원전과 관계가 있다”며 “탈원전은 국가 정책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추진됐고, 많은 법적인 문제도 안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전 원장은 월성원전 관련 감사를 진두지휘했다.

윤 전 총장은 탈원전 정책을 지속적으로 비판해온 주 교수를 만나 관련 의견을 들었다. 주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원전에 대한 윤 전 총장의 이해도가 상당했다”며 “백 전 장관에게 직권남용 혐의만 적용되고, 배임 혐의가 빠진 건 잘못됐다고 윤 전 총장이 말했다”고 전했다.

윤 전 총장은 6일 대전 방문을 시작으로 ‘윤석열이 듣습니다’라는 민심 청취 행보를 통해 문재인정부 주요 정책을 맹비판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립대전현충원 참배에 이어 카이스트(KAIST) 원자핵공학과 학부 및 대학원생과 오찬을 한다. 윤 전 총장은 지난달 29일 대권 도전 선언 때 문재인정부의 소득주도성장 및 부동산 정책 등에 직격탄을 날린 바 있다.

한편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2∼3일 전국 만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한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 윤 전 총장은 31.4%로, 이재명 경기지사(30.3%)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격차(1.1% 포인트)는 KSOI 기준으로 윤 전 총장의 3월 사퇴 이후 가장 작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상헌 강보현 손재호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