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지지율 1위 대권 주자들이 대선 레이스 초반부터 난제를 마주했다. 여당의 이재명 경기지사는 사안마다 ‘반(反)이재명 연대’의 거센 협공을 받고 있고, 야권 ‘장외 기대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장모의 법정구속이라는 대형 악재를 만났다. 두 사람이 거대한 산맥을 넘어 대권에 이를 수 있을지, 아니면 1위 자리를 내주게 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지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뚜렷해지는 ‘이재명 대 반이재명’ 구도에 갇혔다. 특히 이 지사의 ‘시그니처 공약’인 기본소득에 십자포화가 쏟아졌다. 초반엔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비판이 이어졌으나 이 지사가 “1호 공약이 아니다”는 입장을 밝히자 ‘표리부동하고 불안한 정치인’ 공세를 받는 상황이다. 이 지사는 4일 페이스북에 “(전날 TV토론회는) 8대 1에 가까운 일방적 토론이었다. 하려는 사람은 방법을 찾고 안 하려는 사람은 이유를 찾는 법”이라고 일갈했다.
민주당이 국민면접관으로 임명했다 철회한 김경율 회계사를 이 지사가 긍정 평가한 것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다. 이 지사를 ‘반조국 세력’으로 몰아 친문(친문재인) 강성 지지층의 비토를 받게 하겠다는 전략이다. 반이재명 진영에서 ‘철저한 검증’을 공언하는 만큼 욕설 등 도덕성 논란도 조만간 본격 등판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총장은 대권 도전 사흘 만에 장모가 구속되는 악재를 만났다. 수면 아래 있던 ‘처가 리스크’가 공론의 장에 올려진 것이다. 윤 전 총장은 “법 적용에는 누구나 예외가 없다”는 원칙론을 고수하면서 선을 긋고 있지만, 자칫 자신이 핵심 가치로 내건 ‘공정과 상식’이 상처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감지된다.
더 큰 문제는 휘발성 강한 이른바 ‘윤석열 X파일’ 논란이 상존하는 데다 수사기관이 윤 전 총장 본인과 부인, 장모에 대한 또 다른 사건 수사도 다수 쥐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이 지사와 윤 전 총장이 가상 양자대결에서 서로를 각각 오차범위 밖으로 따돌리는 엇갈린 여론조사 결과가 동시에 나왔다. 글로벌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6월 30일~7월 2일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 지사는 44.7%, 윤 전 총장은 36.7%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PNR리서치가 머니투데이·미래한국연구소 의뢰로 지난 3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윤 전 총장이 49.8%로 이 지사(41.8%)를 앞섰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