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가리스크’ 선 그은 尹, 길목마다 도덕성 소용돌이 불가피

입력 2021-07-05 00:05 수정 2021-07-05 00:05
윤석열(왼쪽) 전 검찰총장과 국민의힘 대외협력위원장인 권영세 의원이 3일 오후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대권 도전 선언 사흘 만에 장모 법정 구속이라는 대형 악재에 직면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처가 리스크’에 선을 긋고 민생 탐방 행보로 반전을 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 국민의힘 입당 명분도 쌓을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처가 등과 관련된 도덕성 문제는 대권 행보 주요 길목마다 도사리고 있는 만큼 이를 어떤 식으로 헤쳐나갈지는 윤 전 총장에게 남은 커다란 숙제다.

윤 전 총장 캠프 관계자는 4일 민생 행보와 관련해 “문재인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짚어주거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분들을 만나는 게 의미 있다”고 밝혔다. 캠프는 문재인정부 출범 후 어려움을 겪은 인사들을 만나겠다는 기조하에 여러 안을 놓고 세부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민심을 들으면서 반문(반문재인) 세력을 결집하고 외연 확장을 노리겠다는 포석이다.

5일 공식일정을 잡지 않은 윤 전 총장은 6일엔 대전을 찾는다. 국립대전현충원 참배에 이어 카이스트(KAIST) 원자핵공학과 학부 및 대학원생과 오찬을 한다. 첫 일정으로 대전을 택한 건 ‘충청대망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또 안보 및 호국을 강조하고, 문재인정부 탈원전정책을 비판하겠다는 행보로 해석된다.

요양급여 부정수급 혐의로 기소된 장모 최모씨에게 지난 2일 실형 3년이 선고됐지만 윤 전 총장은 거리를 두고 있다. 본인이 내걸었던 ‘공정과 상식’의 가치와 장모 유죄 선고와는 별개라는 취지다. 윤 전 총장은 지난 3일 “제 주위든 누구든 법이 적용되는 데 늘 공평하고 엄정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국가와 국민을 받들고자 나선 상황에서 사적인 입장을 표현하는 건 맞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전 총장 및 처가를 정조준한 수사와 의혹이 산적하다는 점은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현재 서울중앙지검 서울경찰청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3개 수사기관이 윤 전 총장 본인과 부인, 장모에 대해 또 다른 6개의 사건을 수사 중이다. 또 장모의 통장 잔고증명서 위조 혐의에 대한 재판도 의정부지법에서 진행 중이다. 결국 윤 전 총장 대권 행보 길목마다 이들 사건은 ‘시한폭탄’이 될 수 있는 셈이다. 여권은 벌써부터 윤 전 총장과 처가의 관계를 겨냥해 “경제공동체로서의 성격이 상당히 강하다”며 공세의 고삐를 죄고 있다. 향후 ‘처가 리스크’에 여론이 돌아선다면 윤 전 총장 대권 도전의 가장 큰 동력인 지지율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윤 전 총장은 ‘처가 리스크’에 떠밀리듯이 국민의힘 입당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동시에 입당 명분 쌓기도 본격 개시했다. 그는 국민의힘 대권 주자와 내부 인사들을 연쇄적으로 접촉했다. 윤 전 총장은 2일 대권 잠룡인 원희룡 제주지사, 3일엔 국민의힘 대외협력위원장인 권영세 의원을 만나 만찬을 함께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하태경 의원과도 조만간 만날 예정이다. 한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윤 전 총장의 입당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7말 8초’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상헌 강보현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