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말 집회 강행한 민노총, 사회적 책임 무겁게 인식해야

입력 2021-07-05 04:02
민주노총이 지난 주말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강행했다.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찮아 4차 대유행의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서 8000명이나 모여 집회를 했다니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김부겸 총리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 함께 집회 전날 자제를 요청하려 민주노총을 찾아갔으나 건물 안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뒤돌아서야 했다. 내각을 통할하는 총리와 코로나19 대응 사령탑 수장이 위원장 면담조차 거부당했다. 민주노총은 정부와 방역 당국 위에 존재하는 상급 단체인가.

민주노총 측에서는 “정부에서 방역 실패한 것을 왜 우리에게 와서 그림을 만들려고 하는가”라며 집회 자유 보장을 요구했다고 한다. 지난해 8월 광복절 도심 집회를 강행했던 보수단체들과 ‘판박이’ 주장이다. 민주노총은 경찰이 집회를 봉쇄하자 장소를 옮겨 기습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 사이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고, 경찰과 몸싸움을 벌인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한심한 작태다.

민주노총은 2019년 제1 노총이 됐다. 조합원 수 1위의 노조단체라면 그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의식이 긴요하다. 조합원의 권익도 중요하지만 사회공동체의 안전에 대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비정규직 문제나 산재, 고용 불안 등 주장할 게 많겠지만 방역 조치에는 대승적으로 협조하는 게 옳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세는 극히 우려스럽다. 지난 1일 신규 확진자 수가 800명을 넘어섰고, 집회 직전 일엔 794명이 발생해 토요일 발표 수치로 26주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이 이런 확산세의 중심에 서 있고 변이 감염 사례도 집중돼 있다. 이 때문에 방역 당국은 지난 1일부터 시행하려던 방역수칙 완화를 1주일 미뤘다. 영업시간 제한이 연장돼 고통 받는 자영업자의 형편 등을 헤아리지 않고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것은 국민의 외면을 자초하는 행위다. 경찰이 이번 집회에 대해 특별수사본부를 편성해 수사를 시작했다. 감염병예방법 위반 행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불법 집회를 강행한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할 것이다. 방역 당국은 집회 관련 감염자 발생을 예의주시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