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옥죄는 美 하원, ‘의회 난입’ 진상특별위 설치

입력 2021-07-02 04:08
AP연합뉴스

최근 정치 활동을 재개한 도널드 트럼프(사진) 전 미국 대통령이 난관에 봉착했다. 지난 1월 6일 발생한 이른바 ‘의회 난입 사태’의 진상을 조사할 특별위원회가 하원에 설치되면서 증인으로 소환될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의 재산을 관리해온 최측근마저 검찰에 기소될 운명에 처했다.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 등 외신은 미 하원이 30일(현지시간) 특위 구성안을 찬성 222표, 반대 190표로 통과시켰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 하원은 지난달 ‘난입 사태’ 조사를 위해 위원 10명으로 구성된 초당적 독립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통과시켰지만 공화당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상원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에 민주당이 주도하는 하원에서만 특위가 꾸려져 본격 조사에 돌입한 것이다.

특위가 설치되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 행보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캐리 코데로 신미국안보센터(CNS) 선임연구원은 “특위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증인으로 부르는 등 소환권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위에 진상조사 마감 시한도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도 불리한 요소다. 더힐은 “특위 조사는 양당이 중간 선거를 준비하는 내년까지 흘러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검찰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인 재산을 관리하던 최측근을 기소할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뉴욕 맨해튼지방검찰청이 1일 중으로 앨런 와이셀버그 트럼프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를 탈세 혐의로 기소할 것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그룹에 대한 수사가 진행된 지 3년 만에 이뤄지는 첫 기소다. 와이셀버그는 트럼프그룹으로부터 자동차와 아파트, 사립학교 학비 등 금전적 혜택을 받고서도 신고를 누락하고, 세금을 내지 않았다는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와이셀버그에 대한 기소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적잖은 타격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기소는 와이셀버그의 개인적 탈세에 국한될 것으로 보이지만 외신들은 이를 트럼프그룹에 대한 본격적인 기소에 앞선 ‘신호탄’으로 해석했다. WSJ은 “검찰의 궁극적 목표는 트럼프그룹이 세금을 내고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자산가치를 조작하는 사기를 저질렀다는 혐의를 입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