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공정한 경제질서 구현, 불법·부조리 근절, 공정생태계 조성 등 3대 부문 77개 정책을 통해 공정사회 기반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공정한 경제질서 구현을 위해 경기도는 지금까지 ‘경제적 기본권’ 확대에 심혈을 기울였다.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차별 없이 지급하는 ‘기본소득’은 다양한 정책으로 실현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모든 도민에게 소멸성(3개월 내 사용) 지역화폐를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을 선보였다.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원을 제공하는 청년기본소득은 청년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마중물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는 공정거래와 지역상권 상생 활성화를 지원하는 정책도 펼치고 있다. 공정경제위원회를 설치해 대규모 유통업체 진출 규제 등 소수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바로잡고 있다. 공공배달 애플리케이션 ‘배달특급’도 지난해 12월 출시해 화성·파주 등 16개 시·군에서(내년 상반기까지 전역 확대) 서비스 중이다.
이재명 지사는 “‘공정’은 공동체를 유지하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기본 원리이자 우리 사회가 끊임없이 추구해야 할 소중한 가치”라며 “격차와 불평등·불공정 해소를 통해 공정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