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70년대 경제 고도성장기 시절 ‘구로공단’으로 유명세를 탔던 서울 구로구 일대가 14만명이 근무하는 서울 최대 산업단지이자 창업기업 요람인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거쳐 4차산업 융·복합 도심산업단지로 다시 한번 도약한다.
서울시는 G밸리 192만 2000㎡에 대한 산업단지계획(변경)을 수립하고, G밸리 전역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공공관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5일 ‘2021년 제1차 서울시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를 열어 G밸리 국가산업단지계획(변경)(안)을 ‘조건부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G밸리 최초의 국가산업단지계획으로, 개발계획 변경(용지계획 변경)과 실시계획(지구단위계획 포함)을 아우르는 법정관리계획이다.
우선 G밸리 내 기업간 교류와 연구개발 등 지원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이용도가 낮은 공공용지와 역세권 내 30년이 넘은 민간 공장부지를 13개의 전략거점으로 선정, 특별계획(가능) 구역으로 지정한다. 전략거점에서 세부 개발계획을 수립할 때 공장 등 산업시설과 상업·업무 등 지원시설이 함께 입지할 수 있는 복합용지로 용지변경이 가능해진다. 다만 공공부지는 연면적 30% 이상을 R&D센터, 창업지원시설 등의 ‘산업교류 혁신지원 공간’으로 의무 도입한다. 민간부지는 용지변경에 따른 개발이익 환수(지가차액 50% 기부채납)를 통해 산업혁신 지원공간을 확충한다. 서울시는 ‘산업교류 혁신 지원공간’에 중앙부처 산업지원사업을 유치하거나 시 자체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G밸리 내 녹지를 확대하고 보행친화형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건축한계선 전면공지 내 가로정원을 조성한다. 13개 전략거점에는 전체 부지면적 15% 이상을 공원형 공개공지로 조성하고 주요 가로변에는 특화가로를 계획한다. 1 2 3단지별 주요 가로축과 역세권 연계축을 ‘산업교류 활성화 가로’로 지정해 저층부 건축물 배치를 다양화하고 용도를 활성화한다. 3단지 가산디지털역과 안양천 연계축은 ‘수변연계 활성화 가로’로 특성화한다.
용적률 계획은 현재 건축법 등 개별법 상 적용되고 있는 용적률 인센티브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다. 다만, 단지 내부 도로 용량 확대를 위한 보·차도형 전면공지 설치, 부지면적의 15%이상 공개공지 확보, 지역 및 입주기업을 위한 커뮤니티시설 설치 등 공공성 확보를 전제로 한다.
이와 함께 출·퇴근 인구, 외부 유입 차량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교통체계도 보완 개선한다. G밸리 내 3~4차선 도로를 5~7차선으로 확대하고 경부선으로 단절된 2, 3단지 원활한 소통을 위해 두산길 지하차도 사업이 추진된다.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 보행자 우선가로 조성 등 보행친화적인 도로환경 개선도 이뤄진다.
G밸리 국가산업단지계획(변경)(안)은 조건 사항에 대한 보완을 거쳐 서울시장이 산업단지계획을 수립 고시한다. 올 하반기에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유의 서울디지털운동장부지를 시작으로, 전략거점 개발을 위한 세부개발계획 수립이 진행될 예정이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이번 산업단지계획 수립을 통해 개별적인 활성화 사업들을 통합관리하고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만큼 G밸리를 스마트 혁신 도심 산업단지로 재창조하는데 공공의 지원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