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는 탄소배출 감축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위해 다양한 해법을 찾고 있다. SK브로드밴드는 전력 사용이 큰 구형 전화교환기(PSTN)를 새 장비로 교체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 PSTN은 시내전화 서비스를 위해 1990년대 후반 도입한 장비다. 최근엔 사용이 줄었지만 통신 장비 중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SK브로드밴드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PSTN 21식을 철거, 연간 전력 6850㎿를 줄였다. 온실가스로 환산하면 약 3194t을 감축한 셈이다. 이를 대체할 신규 장비의 전력 사용량은 연간 1068㎿로 기존 PSTN의 16% 수준이다.
2024년까지 남은 PSTN 20식을 모두 철거해 연간 1만5978㎿, 온실가스 7449t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대기전력이 큰 셋톱박스도 개선한다. SK브로드밴드는 대기전력이 타사 모델 대비 50~65% 낮은 저(低)전력 셋톱박스를 최근 개발해 서비스 중이다. 새로 개발하는 셋톱박스에 대해선 ‘저탄소 제품 인증’도 추진한다.
지난 2월 한국전력과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프로그램 ‘녹색프리미엄’ 계약도 했다. 전력 소비자(기업)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 사용을 인정받기 위해 추가 요금(프리미엄)을 내고 ‘재생 에너지 사용 확인서’를 발급받는 제도다. 기업이 낸 프리미엄은 재생에너지 보급 및 확산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