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연내 금리 정상화” 경제 회복세… 인플레 우려

입력 2021-06-25 04:01
국회사진기자단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중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우려하며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확산하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맞서 각국 통화 당국의 글로벌 대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총재는 24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지금의 금리정책은 지난해 코로나19 위기가 닥치고 경제가 급격히 위축되기 시작했을 때 물가 상승률이 0%에 근접했던 상황에 맞춰 이례적으로 시행한 것”이라며 “경제가 정상화돼 감에 따라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가 금리 인상 시기를 연내로 특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제 상황 전개에 따라’(지난달 27일), ‘하반기 이후’(지난 11일)를 거쳐 이날 연내 금리 인상을 못 박은 것이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직접적으로 드러냈다. 이 총재는 “중기 시계에서 보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 또한 적지 않게 잠재해 있다”며 “재정부양책 및 대규모 유동성 공급이 빠른 경기 회복과 맞물릴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을 확대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으로 인한 병목현상, 친환경경제 이행 과정에 따른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세 장기화 등도 유발 요인으로 지적했다. 이 총재는 “높은 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경우 경제주체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서 추가적인 물가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해서도 “최근 농축산물 가격, 유가 등 공급 측 요인이 물가 오름세를 주도하고 있다”면서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 압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융불균형 악화 현상에 대한 고민도 드러냈다. 이 총재는 “경제주체의 위험추구 성향이 강화되면서 자산시장 자금 쏠림이 뚜렷해지고 민간 부채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경제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제주체의 레버리지를 안정적인 수준에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금리 인상이 곧 긴축정책으로 직결되는 건 아니라고 선은 그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한두 번 올린다고 해도 통화정책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말했다. 당정이 추진하는 35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과 한은의 통화정책이 ‘엇박자’를 보이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은 조화적 운영이 필요한데 그것이 반드시 똑같은 방향, 비슷한 강도, 한 방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