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 해결 ‘물꼬’ 텄다

입력 2021-06-25 04:07
대구 달성군을 흐르는 낙동강 전경. 국민DB

대구·경북의 난제였던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의 매듭이 풀렸다.

대통령 소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산하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24일 취수원 다변화 내용을 담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심의·의결했다.

대구·경북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구미 해평취수장(30만t)과 추가고도정수처리(28.8만t)를 통해 대구(57만t)와 경북(1.8만t)에 물을 배분하기로 결정했다. 대구가 낙동강 상류 취수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이와 함께 울산 반구대암각화를 보호하기 위해 운문댐(경북 청도, 수성구 식수원) 물을 울산시에 공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이번 결정에 불이익을 당한다고 여기는 주민들이 없도록 착공 전까지 객관적인 방법을 통해 주민 동의를 구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이밖에도 영향을 받는 지역의 주민피해(규제 신설, 물이용 장애)가 없도록 할 것, 취수원 다변화로 수혜를 받는 지역이 영향을 받는 지역 주민들의 소득향상을 지원할 것, 수계기금제도 개편을 통한 상생발전사업 지원 등 지속적인 혜택을 담보할 것, 국가 정책사업 등과 연계해 영향을 받는 지역의 발전을 도모할 것 등의 단서를 달았다.

환경부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을 올해 안에 착수할 예정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