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와 태안군이 수온과 태풍의 영향을 최소화 한 무항생제 우럭 양식에 성공했다.
도와 태안군은 22일 안면도 아일랜드리솜과 내파수도 인근에서 ‘중층 가두리 양식 시험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중층 가두리 시험양식은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연안 가두리 양식장의 자연 재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도입됐다. 2018년 9월 시험 양식을 시작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위탁해 가로·세로·높이 각 8m 규모의 중층 침설(沈設)식 가두리 양식장 8칸을 제작, 내파수도 인근 수심 10~20m 바다에 띄웠다.
시험양식 결과 중층 가두리 양식장의 우럭은 2018년 12월부터 3개월간 겨울철 저수온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2019년 여름 고수온 피해도 없었다. 같은 해 9월 태풍 ‘링링’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특별한 조치 없이 피해를 입지 않았다.
우럭의 성장 속도 역시 타 지역 중층 가두리나 천수만 연안 가두리 양식장보다 30~50%정도 빨랐다. 도는 연안 가두리 양식장이 치어에서 출하까지 2년 6개월~3년이 걸린다면, 중층 가두리 양식장은 1년 6개월~2년이면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질병에 의한 폐사도 없었다. 충남도 관계자는 “중층 가두리 양식장은 조류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수온이 5~25도로 유지될 정도로 생육 환경이 매우 좋다”며 “우럭들이 양식장 내에서 멸치나 까나리 등의 자연 먹이를 직접 잡아먹는 덕분에 연안 가두리는 물론 타지역 어장보다 빠른 성장 속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 “항생제를 투여할 필요가 없으며 연중 출하가 가능하다”며 “맛이나 색깔도 자연산과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태안=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