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쓰촨성이 전면적인 가상화폐 규제에 나서면서 중국에서 채굴장이 발붙일 곳은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쓰촨성은 수력발전 비중이 높고 전기료가 저렴해 당분간 가상화폐 규제의 칼날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던 지역이었다. 이번 조치로 중국 내 가상화폐 채굴장이 90% 이상 폐쇄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21일 중국기금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쓰촨성 발전개혁위원회와 쓰촨성 에너지국은 최근 지방 당국에 가상화폐 채굴장을 전면 단속하도록 지시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쓰촨성 내 가상화폐 채굴장 26곳을 20일까지 폐쇄하고 그 결과를 25일까지 보고하라는 내용이었다. 또 전력회사에는 가상화폐 채굴장에 전력 공급을 중단토록 했다.
쓰촨성은 신장자치구에 이어 중국에서 가상화폐 채굴량이 두 번째로 많은 곳이다. 수자원이 풍부한 쓰촨성은 수력발전을 통해 값싼 전기를 대량생산해 왔다. 사용되지 못하고 낭비되는 전기도 적지 않아 쓰촨성 당국은 그간 전력 사용량이 큰 기업 유치에 공을 들였다. 첨단기업으로 위장한 가상화폐 채굴장도 우후죽순 들어섰다.
중국 내 채굴업자들 사이에서는 쓰촨성에서 가상화폐 규제가 비교적 느슨할 것이라는 기대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중국 중앙정부가 가상화폐 규제에 나서는 최대 명분이 탄소 배출 저감인 만큼 수력발전 비중이 높은 쓰촨성은 예외가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쓰촨성까지 채굴장 단속에 나서면서 중국 채굴업자들은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쓰촨성의 한 채굴업체 관계자는 지난 19일 밤 채굴장의 전력 공급이 전면 중단됐으며 이후 직원들끼리 서로 작별 인사를 했다고 인터넷에 분위기를 전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이로써 한 시대가 끝났음을 정식으로 선포하게 됐다”고 말했다.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쓰촨성의) 규제 조치는 중국 내 비트코인 채굴장의 90%가 문을 닫게 된다는 의미”라며 “규제 당국이 일부 지역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무릅쓰고서라도 가상화폐로 인한 금융 리스크를 통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