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내용의 새 방역 지침을 확정해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개편안은 거리두기를 기존 5단계에서 4단계로 간소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강화했다. 인구 10만명당 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1명 미만인 1단계에는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을 하지 않고 2단계(1명 이상 2명 미만)에는 최대 8인까지 허용된다. 식당·카페, 노래방, 유흥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1단계에서는 제한이 없고 2단계에서는 자정까지 허용된다.
현 수준이 유지될 경우 비수도권은 다음 달부터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이 완전히 풀리게 된다. 수도권은 2단계에 해당되지만 2주간 6인까지 허용한 후 15일부터 8인으로 완화된다. 등교 수업도 확대된다. 2학기부터는 1단계는 물론 2단계에서도 유치원과 초·중·고교 전면 등교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신규 확진자 추이, 백신 접종률, 지자체 건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새 지침 적용 시기를 앞당겼다고 한다.
경제 활동이나 일상 생활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는 것은 반갑고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대한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 백신 접종률은 20일 0시 기준 1차 접종 29.2%, 2차(얀센 접종 포함) 7.9%다. 집단 면역이 기대되는 접종률 70%를 달성하려면 아직 멀었다. 거리두기가 완화돼도 그때까지는 실내 마스크 착용, 물리적 거리두기 유지, 음식물 섭취 금지 등 시설별 적용되는 방역 수칙을 숙지해 실천해야 한다. 당국은 새 방역 지침을 널리 알려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백신 접종에도 더 속도를 내야 한다. 감염성이 강한 인도발 ‘델타 바이러스’ 등 변이 바이러스가 유입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성인 인구의 80%가 접종하고도 델타 바이러스 확산으로 최근 신규 확진자가 1만명대로 치솟은 영국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
[사설] 7월 거리두기 완화에 경계심 늦춰선 안 된다
입력 2021-06-21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