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웅, 이번엔 친모 유공자 등록 논란… 보훈처 확인 나서

입력 2021-06-18 04:02
김원웅 광복회장이 지난달 2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김 회장 모친의 독립운동 행적 의혹과 관련한 조사에 착수했다. 연합뉴스

김원웅 광복회장 모친의 독립운동 행적이 언니의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국가보훈처가 확인에 나섰다. 김 회장 부모의 독립운동 진위를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보훈처는 17일 “김 회장 모친 독립운동과 관련해 새로운 문제가 제기돼 이와 관련한 자료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자료를 수집하고 확인하는 것이지 본격 조사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보훈처 공훈관리과는 김 회장 모친 ‘전월선’의 본적지인 경북 상주시에서 가계제적부를 떼본 결과 보훈대상자 명부에 기록돼 있는 ‘전월선’ ‘전월순’이 동일 인물이 아니라 각각 존재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전월순은 김 회장 친모 전월선의 2살 위 언니다.

김 회장은 그동안 모친이 두 개의 이름을 사용했다고 주장해왔다. 보훈처에 따르면 1990년 독립유공자 신청 당시 김 회장 모친은 ‘전월선’이 본명이고 ‘전월순’이란 이명(異名)으로 광복군 활동을 했다고 기록돼 있다. ‘전월순’은 16세이던 1939년 중국에서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에 입대해 일본군 정보를 수집하고 대원을 모집한 공적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전월순이 실존했다는 게 드러나면서 김 회장 모친인 전월선의 행적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전월선이 아닌 전월순 본인이 독립운동을 했고, 이를 전월선의 행적으로 차용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된 것이다.

독립운동가들이 가명을 사용하는 경우는 많았지만 가족 전체에 피해가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친족의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는 점도 이런 의혹을 증폭시켰다. 김 회장에 반대하는 광복회 개혁모임과 광복군 후손모임 측은 김 회장의 모친이 언니의 공을 가로채 수억원에 달하는 보상금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 등을 통해 김 회장 부모의 ‘가짜 독립유공자’ 논란이 일었고, 이에 김 회장은 보훈처에 직접 재조사를 요청했다. 보훈처는 지난 1월 업무보고에서 ‘독립유공자 공적 전수조사’ 계획을 발표하면서 “(김 회장) 본인 요청으로 독립유공자 공적검증위에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서훈 자격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했다.

전월순과 전월선은 다른 사람이란 점이 드러나면서 보훈처가 본인 확인을 제대로 안 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보훈처 관계자는 “포상 신청이 들어온 사람에게 공적이 있는지를 주로 보지 동명이인인지, 다른 사람인지 여부는 주되게 보지 않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2019년 6월부터 광복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김 회장은 정치적 편향성 등을 이유로 광복회 내부에서 수차례 갈등을 빚었다. 지난 4월 제102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김 회장의 멱살을 잡은 광복회원 김임용씨는 광복회에서 제명됐다. 최재형기념사업회와 상의도 없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등 여권 인사에게 ‘최재형상’을 줘 기념사업회가 광복회를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