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기 금리 인상 시그널… 후폭풍 최소화에 만전 기하라

입력 2021-06-18 04:02
미국의 금리 인상 시계가 빨라지면서 국내 금리 인상도 가시권에 접어들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자금 마련) 등으로 가계부채가 급증한 서민 입장에선 금융 부담이 코앞으로 다가오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0.00∼0.25%)을 결정했지만, 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구체적이고 명백한 신호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다. 당초 미 연준 입장은 당분간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2023년 인상이 거의 기정사실이 됐다. 그것도 두 차례 이상 실시되리란 전망이 대세다. 당장 내년부터 금리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 연준의 통화정책은 국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행도 당초 내년 하반기에나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지만, 최근 조기 금리 인상의 필요성이 공개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올 10~11월 한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에 오히려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한은이 17일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개최해 FOMC 회의 결과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영향과 동향 및 대응 방향을 논의한 것은 이런 흐름을 반영한다. 한은은 회의 후 “향후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주택 관련 대출 등의 영향으로 가계부채가 폭증한 가운데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 서민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치명적일 수 있다. 지난 1분기 말 가계대출 잔액은 1765조원으로 1년 전보다 9.5%나 불었다는 게 한은 통계다. 금리가 인상되면 늘어나는 이자 부담으로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소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금리 인상의 빨간불은 이미 켜졌고, 부채가 경제 뇌관이 될 위험은 커지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민들은 꼭 필요하지 않은 부채는 줄이고, 생계대출이라면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등 사전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금융 당국도 후폭풍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에 충분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