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미술관 유치전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쟁으로 번지며 과열 양상이다.
영남권 5개 시·도지사들은 17일 국립 이건희 미술관 입지 선정 절차를 비수도권 포함 공모로 추진해달라는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부산·울산·대구·경북·경남 시·도지사로 구성된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회장 송철호)는 정부가 이건희 미술관 입지 선정 과정을 공정하게 진행해 반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이같이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는 건의문에서 “국립 이건희 미술관 건립은 국가균형발전과 문화가치 확산을 통한 포용을 반영해야 하며, 전 국민의 조화로운 문화공유에서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문화적 가치를 전 세계로 확산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영남권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5개 시·도지사는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의 문화분권 확대, 그리고 공정하고 투명한 입지 선정을 위해 이건희 미술관 입지 선정을 지방에 공모절차로 추진 해 줄 것을 간곡히 건의 드린다”고 요청했다.
협의회는 문화시설 2800여개 중 36%, 미술관 200개 중 50% 이상이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문화예술 균형 발전이나 문화 분권 차원에서 지방에 미술관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는 공동건의문을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지난달 24일 이건희미술관 신설을 위한 태스크포스 구성 이후 진전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문체부는 각계 의견을 수렴해 6월 말 이건희 미술관 건립 추진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진정한 균형발전은 전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며 “미술관이 많은 국민에게 공감, 향유되기를 바라는 고(故) 이건희 회장 뜻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건희 미술관 유치전은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의 건립 검토 지시 이후 미술계가 서울 ‘종로구의 송현동 부지’와 ‘정부서울청사’ 등이 적격지라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전국 지자체들이 학연·혈연·지연에 ‘인연’까지 꺼내들어 유치 당위성을 내세우는 등 과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