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함께 이룬 창원의 변화… 특례시 출범 한번 더 도약”

입력 2021-06-16 04:05

허성무 시장 체제의 경남 창원시가 지난 3년간 특례시 법안 통과로 독자적 정책 수립의 발판을 마련하고, 진해신항 유치, 스마트그린산단 선정,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수소산업 육성 등 굵직한 미래 먹거리를 확보했다.

창원시는 15일 민선7기 3주년을 맞아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시민과 함께 이룬 사람 중심 새로운 창원 1100일’의 시정 변화상을 공유하는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성과를 발표했다.

창원시는 먼저, 104만 창원시민의 오랜 염원이었던 ‘창원 특례시’법안이 통과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밝혔다.

내년 1월 출범하는 ‘창원특례시’는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기초자치단체와 차별되는 준광역시급 권한을 법적으로 보장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늘어난 자치재정을 도로, 교통, 공원 등의 인프라 확충과 시민 삶의 질 개선에 대폭 투입할 수 있게 됐다.

30년동안 지속된 ‘게리맨더링’도 바로 잡았다.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기형적으로 나뉘던 의창구와 성산구의 경계가 생활권에 맞춰 행정구역이 개편돼 주민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시는 작년 초대형 태풍에도 전국 최초 주민대피명령과 차량통행 전면통제로 인명피해와 차량 침수사고 제로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또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위기에 맞서 첫 확진자 발생 즉시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신속한 대응과 촘촘한 방역체계 구축해 전국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인구 10만 명당 확진자 수 최저(77명)를 기록했다.

위드코로나 시대, 국내 최대 온라인 플랫폼 행사인 한·세계화상 비즈니스 위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으며, 일본 수출 규제 위기 속에서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유치하는 쾌거를 이뤘다.

창원 미래도 재설계했다. 제조업의 쇠퇴와 기계·조선·자동차 등 관련 산업의 침체로 위기에 빠진 주력산업의 반등을 위해 신성장동력 확보에 앞장섰다. 진해신항 유치·명칭 확정, 스마트그린산단 선정,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등이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특히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수소산업을 키워 창원경제 전환점을 만들었다. 전국최초 수소에너지 순환시스템 실증단지를 조성하고, 기초지자체 최대로 수소충전소를 확충하고 수소차를 보급했다. 창원시가 2018년 11월 수소산업특별시를 선포하며 달성한 성과다.

허성무 시장은 “민선 7기 3년간 시민 입장에서 적극 행정을 펼쳐 대변혁의 토대를 완성했다”며 “향후 1년, 대변혁의 완성된 토대를 발판으로 새로운 창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