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직격탄… 주52시간제 대책 시급”

입력 2021-06-15 04:05
이동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이 14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주 52시간제 대책 마련 촉구 경제단체 공동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반원익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이 부회장, 서승원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 이관섭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이한결 기자

경제단체들이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하기에 앞서 준비 기간 추가 부여 등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다음 달부터 중소기업에도 도입된다.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5개 경제단체는 14일 서울 영등포구 중기중앙회에서 “인력난에 시달리는 영세업체를 중심으로 계도 기간을 추가로 주고, 특별연장근로 인가제 기간을 늘리는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공동입장을 발표했다.

공동입장문에서는 한국은행 조사 결과를 인용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3분기까지 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6% 감소하고 대출은 15.5% 증가했다고 밝혔다.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자금 여력이 낮아져 중소기업 절반 가량(52.8%)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고용 충격이 중소기업에 집중돼 지난해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29만7000명 줄었다. 특히 주조, 금형, 용접 등 기피업종은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높았는데, 추가 입국이 중단되면서 근로자를 구하는 게 더 어려워졌다는게 이들 단체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보완책 없이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현장에서 큰 충격이 예상된다는 게 경제단체 주장이다. 중기중앙회가 지난 10~11일 뿌리산업·조선업종 207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인 미만 기업의 44%가 주 52시간제 도입 준비가 안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단체들은 50인 미만 기업에 1년 이상의 준비 기간을 마련해줄 것, 특별연장근로 인가제 기간을 확대해 줄 것, 월·연 단위 추가연장근로 시간을 늘려줄 것 등을 요구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