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든 순간도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았기에 에투알(수석무용수)의 영광을 얻은 것 같아요.”
‘발레의 종가’ 파리오페라발레에서 동양인 최초로 에투알이 된 박세은은 지난 11일 국민일보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10일(현지시간)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 극장에서 개막한 ‘로미오와 줄리엣’ 전막공연이 끝난 뒤 에투알로 지명됐다.
“오렐리 뒤퐁 파리오페라발레 예술감독과 알렉산더 네프 파리오페라극장장이 무대에 올라와 제 이름을 불렀을 때 꿈인지 현실인지 헷갈리더라고요. 그동안 동료들이 에투알로 지명되는 순간을 보면서 ‘내가 저 자리에 서면 어떤 기분일까’ 늘 궁금했는데 막상 주인공이 되고 보니 긴장돼서 정신이 하나도 없었어요.”
1669년 설립된 파리오페라발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정상의 발레단이다. 150여명의 정단원은 5단계로 구분되는데, 카드리유(군무)-코리페(군무 리더)-쉬제(솔리스트)-프리미에 당쇠즈(제1무용수)-에투알(수석무용수) 순이다. 주역급인 프리미에 당쇠즈까지는 승급 시험을 통해 선발되지만 에투알은 예술감독과 이사회의 논의를 거쳐 지명된다. 에투알은 ‘별’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파리오페라발레에서 수석무용수가 되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처럼 어렵다. 아시아 출신 에투알은 박세은이 처음이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파리오페라발레가 코로나 팬데믹 이후 1년여 만에 무대에 올리는 첫 전막 발레다. 이 공연에 박세은이 캐스팅되면서 현지에서는 에투알 지명 가능성이 언급됐다. 그는 “공연 당일 무대에만 집중하자고 생각했다. 그동안 리허설을 많이 한 덕분에 실수 없이 편하게 췄다”고 말했다.
한국의 부모님이 에투알 지명 현장에 함께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대신 남편과 시어머니, 시누이 등 시댁 식구들이 열정적으로 축하해 줬다. 박세은은 파리에서 변호사로 일하는 한국인 남편과 6년간 열애 끝에 2019년 결혼했다. 그는 “결혼 이후 남편과 시댁의 응원 덕분에 발레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발레를 시작한 박세은은 예원학교를 거쳐 서울예고 재학 중 영재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했다. 별명 ‘빡세’는 이름 ‘박세’에서 나온 것이지만 ‘빡세게’ 열심히 한다는 뜻을 담았다. 독종으로 불릴 정도로 열심히 연습한 그는 2007년 스위스 로잔 콩쿠르 1위, 2010년 불가리아 바르나 콩쿠르 금상 등을 수상하며 ‘콩쿠르의 여왕’으로 불렸다. 로잔콩쿠르 1위 특전으로 미국 아메리칸발레시어터Ⅱ에서 1년간 활동한 그는 2009년 국립발레단에 특채됐다.
국제무대에서 활약하고 싶었던 그는 2011년 오디션을 통해 파리오페라발레 준단원으로 입단했다.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의 솔리스트 제안을 거부하고 어려운 길을 선택했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그는 2012년 정단원으로 카드리유가 된 것을 시작으로 2013년 코리페, 2014년 쉬제, 2016년 프리미에로 고속 승급했다. 2018년엔 ‘발레의 아카데미’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 최고 무용수상을 수상했다.
슬럼프도 있었다. 2014년 벤자민 밀피예 예술감독이 취임한 이후 출연기회가 다소 줄어든 상황에서 이듬해 발과 이마에 부상을 입어 승급시험도 치르지 못했다. 묵묵히 재활과 연습에 매진한 그는 2015년 12월 ‘라 바야데르’의 주역으로 캐스팅되며 다시 일어섰다.
“한국 친구 중에는 20대 중반에 해외 발레단에서 수석무용수가 된 경우도 있어요. 그에 비하면 저는 정상에 오르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걸렸죠. 괴로운 시간도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버텼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한국의 후배 무용수들이 저를 보면서 용기를 얻었으면 좋겠어요.”
그는 에투알 승급을 계기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흔들리던 마음을 다잡았다. 파리오페라발레에서 은퇴(정년 42세)할 때까지 발레에 모든 것을 쏟아붓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코로나로 공연이 계속 취소되면서 무용수로서 무력감이 왔어요. 에투알 지명으로 다시 열심히 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긴 것 같아요. 파리오페라발레에서 다양한 작품을 해보고 싶은 것 외에 바람이 하나 더 있는데요, 파리오페라발레 내한공연의 주역으로 한국 관객과 만나고 싶습니다.”
파리오페라발레의 전막 내한공연은 1993년 ‘지젤’이 유일했다. 한국 발레의 역사를 새로 쓴 박세은의 바람이 이뤄질까.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