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명 고지 올랐지만… ‘우리 먼저 접종’ 요구에 술렁

입력 2021-06-11 00:04
시민들이 10일 서울 송파구 체육문화회관에 마련된 예방접종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후 이상반응 관찰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 수는 이날 1000만명을 돌파했다. 이한결 기자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시작된 지 105일째인 10일까지 국민 5명 중 1명 정도가 백신을 한 번 이상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백신 접종이 순항하는 가운데 방역 당국은 3분기 우선접종 대상자 선정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군 우선 접종’ 원칙을 강조했지만 최근 ‘우리 먼저 접종해 달라’는 여러 요구가 잇따르면서 원칙이 흔들리는 모양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날 오후 4시 기준 약 1045만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 국민의 약 20.2%에 해당한다. 오전 11시 기준 가장 접종률이 높은 연령대는 만 75세 이상 고위험군(74.7%)이었다. 만 65~74세의 접종률은 53.6%였다. 얀센 백신 접종도 이날부터 시작됐다. 첫날 예약자는 23만4000여명에 달했다.

정은경 대응추진단장은 “1300만명 접종을 상반기에 마치고 현재와 같은 방역수칙을 유지하면 7월 중순 이후부터는 확진자 감소폭이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러한 전망이 그대로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7월에는 방역 수칙이 완화된 ‘개편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적용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거리두기 완화로 확진자 수가 급증할 우려가 있어 7월은 지나야 유행의 감소세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7월이 분수령인 셈이다.

확진자 수의 변화와 상관없이 3분기 예방접종계획은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치명률이나 감염위험이 높은 집단부터 접종해온 방침을 고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접종의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고위험군) 우선접종 순위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정부가 검토 중인 우선접종 대상자에는 의학적 필요성 외에 사회적 요구에 의한 경우도 포함돼 있다. 앞서 방역 당국은 소아암 환자나 신생아 중환자의 보호자, 여행 관련 종사자에 대한 우선접종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부속의원을 갖춘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도 검토 중이다. 업종이나 지역별로도 우선접종 요구가 잇따른다. 택배기사, 학원 강사, 환경미화원 등이 우선 접종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도는 여름 피서객 증가가 우려스럽다며 제주도민 우선접종을 건의한 상태다.

고위험군을 먼저 접종한다는 당초 원칙이 흔들리면 고혈압이나 당뇨, 암 등을 앓는 만성중증질환자가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정은경 단장은 “(돌봄인력, 고3, 50대 외에) 우선접종 대상자를 둘 것인지, 아니면 연령층으로 접종할 것인지 등은 계속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만성질환자가 분명 고위험군이긴 하지만 질환별로 구분해서 대상군을 파악하는 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렵다”며 “만성질환이 가장 많은 분이 50대 이상의 청장년층이어서 그 연령층부터 접종을 확대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예슬 송경모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