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시작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정부와 국민 모두에게 새로운 시도였다. 백신이 효과적이고 안전한지, 제때 맞을 수 있는지 논란은 끊이지 않았고, 의혹을 불식시키려는 설명과 정책 역시 이어졌다.
백신 접종은 지난 2월 26일 첫발을 뗐다. 요양병원·시설의 입소자와 종사자, 코로나19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가 대상이었다. 차례로 문을 연 중앙·권역·지역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이 이뤄졌다. 의료기관 자체 접종도 시행됐다. 1분기 막바지 1차 접종자는 88만명가량 됐다. 전체 국민의 1.6% 수준이었다.
4월 들어 접종 대상은 확대됐다. 만 75세 이상 고령자와 감염취약시설 종사자, 돌봄 종사자, 사회필수인력 접종이 시작됐다. 접종기관도 확충됐다. 지역예방접종센터는 257곳으로 늘었고 조기접종 위탁의료기관도 약 2200곳 문을 열었다. 인구 대비 접종률은 6%를 넘겼다.
전환점은 5월에 찾아왔다. 만 65~74세 접종을 기점으로 접종량이 급증했다. 1차 접종률은 이후 평일 기준 하루 평균 1% 이상 꾸준히 올랐다. 1만2800곳까지 확충된 위탁의료기관이 이를 뒷받침했다.
고비도 여럿이었다. 백신의 효과를 의심하는 시선도 있었고, 접종 시작 후엔 이상반응이 화두로 떠올랐다. 발열·근육통 때문에 고생했다는 증언이 줄지어 나왔다.
불신은 희귀 혈전증 논란을 거치며 정점에 올랐다. 지난 4월 7일 60세 미만 대상자의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을 잠정 보류했다가 닷새 만에 접종을 재개했으나 만 30세 미만에 대해선 계속 접종을 제한하기로 했다. 중증 이상반응이 신고될 때마다 더 적극적인 보상 체계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백신 수급난도 걸림돌이었다. 백신 부족은 5월 한때 현실화되기도 했다.
백신에 대한 불신도, 불확실한 수급도 아직 매조지지 못했지만 접종률은 큰 폭으로 올랐다. 한 달 전 7.2%였던 1차 접종률은 10일 오후 4시 기준 20.4%가 됐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국민 개개인 주변에 접종자들이 꾸준히 늘어나며 점차 불신을 낮췄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줄지어 발표된 백신 인센티브 영향도 작용했다. 예약자 89만명에 대한 얀센 백신 접종도 이날부터 시작됐다. 이들은 한 번만 맞아도 접종 완료자로 집계된다.
전문가들은 1000만명 접종이 의미 있는 이정표라면서도 남은 과제를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고위험군부터 우선적으로 향후 접종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인센티브에도 백신을 거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들을 설득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