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사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을 나서며 국제사회에 ‘미국의 귀환’을 선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영국과 벨기에, 스위스를 차례로 방문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미·유럽연합(EU) 정상회의 등 다자외교 일정을 소화하고 주요국 정상과 회동할 예정이다. 그는 이번 순방에서 ‘대서양 동맹’을 재건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영국 밀든홀 공군기지에 도착한 직후 연설에서 “이번 순방 일정을 통해 미국이 돌아왔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동맹은 강제로 맺어지지 않았고 위협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다”며 “동맹은 민주주의적 이상과 미래를 향한 공통된 관점, 그리고 모든 사람의 목소리와 권리를 존중하는 정신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의 ‘미국우선주의’ 동맹관과 차별화한다는 의미가 있다. 동맹 관계를 상거래의 관점으로 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영국과 독일 등 나토 동맹국에 무역적자 해소와 방위비 분담금 인상 등을 요구해 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 외교를 통해 전통적 다자 관계를 복원하고 최대 경쟁자인 중국·러시아에 대한 공동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은 G7 회의에서 92개 저소득 국가와 아프리카연합(AU)에 5억회분의 화이자 백신을 공여한다는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 일각에서 제기되는 미국의 ‘백신 독점’ 비난을 불식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11~13일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기간 동안 영국과 호주, EU와 각각 양자회담을 한다.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한·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0일 “모든 가능성은 열려 있다. G7 참가국과 양자 혹은 3자 회담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풀어사이드’(pull aside·약식 회담) 방식으로 한·일 정상이 만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성은 박세환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