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탈당권유 조치를 받은 부동산 투기의혹 연루 의원 12명은 저마다 억울함을 호소했다. 연루된 의원 대부분은 권익위 조사결과를 적극 반박하는가 하면, 일부는 소명절차가 결여된 당 지도부 결정에 불복 의사를 내비치면서 내홍이 심화될 조짐도 보였다.
민주당 고용진 수석대변인이 8일 의원 12명의 명단 공개 및 탈당권유를 공식 발표하자마자 당사자들은 준비된 해명을 앞다퉈 내놨다.
일부는 당의 탈당권유 과정에서 당사자에게 의혹 설명 과정이나 소명절차가 없었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김한정 의원은 “당은 졸속 결정을 내렸고, 권익위는 부당한 판정을 내렸다”며 탈당권유 결정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업무상 비밀이용 의혹이 제기된 남양주 진전읍 토지엔 “왕숙신도시 확정 1년7개월이 지나 구입한 토지”라며 경찰 특별수사본도 ‘혐의없음’ 처분을 한 점을 강조했다.
농지법 위반 의혹이 제기된 우상호 의원도 “정치인에게 탈당은 엄청난 형벌”이라며 “소명절차도 없는 탈당 권유는 납득이 안 된다”고 반발했다. 그는 모친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농지를 묘지로 쓰게 된 사정과 나머지 토지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권익위 조사를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도 잇따랐다. 김회재 의원은 명의신탁 의혹이 제기된 서울 송파구 잠실 아파트 매도 건과 관련해 “잔금을 받은 후 곧바로 근저당 설정을 해지했다”며 “권익위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발생한 오해”라고 항의했다.
일부가 강하게 반발하면서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었던 ‘LH 사태’가 당내 갈등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신정훈 민주당 의원은 “지도부 고심을 이해한다”면서도 “여론이 안 좋다고 시시비비 가릴 틈도 없이 손발부터 자르는 방식이 옳은지 고민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탈당 권유를 수용키로 한 의원들도 권익위 조사 결과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문진석 의원은 “3월 농지를 정상적으로 영농법인에 매도했지만 영농법인 대표가 제 형이라는 이유로 차명 보유를 의심하고 있다”며 “억울한 마음이지만 소명 후 민주당에 돌아올 것”이라고 했다. 서영석 의원은 “도의원 시절 땅을 매입했다는 이유로 문제 있는 것처럼 치부하고 있다”며 “제가 왜 도려내지는지 모르겠다”고 호소했다. 임종성 의원은 “지도부의 탈당 권유에 참으로 할 말이 많지만, 결정에 따라 탈당하겠다”며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 당으로 돌아오겠다”고 했다.
김주영 오영훈 김수흥 양이원영 윤재갑 의원도 해명자료를 내고, 소명 후 복당하겠다고 밝혔다. ‘정의연 사태’로 재판을 받고 있는 윤미향 의원은 남편 명의의 경남 함양집을 시어머니에게 증여한 사정을 설명하며 “조사에 성실히 응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당은 비례대표의 경우 탈당 시 의원직을 상실하게 되는 점을 감안, 윤 의원과 양이원영 의원에 대해서는 출당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정현수 이가현 기자 jukebox@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