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코인’ 된 비트코인… 잇단 악재에 4000만원도 붕괴

입력 2021-06-09 00:02 수정 2021-06-09 00:02

지난 4월 최고점을 기록한 뒤 계단식 하락을 거듭하던 비트코인이 4000만원 선마저 붕괴되며 급락했다. 미·중 양쪽에서 잇단 악재가 터져 나오면서 넉 달간 상승분을 모조리 반납한 채 바닥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헤지 기능을 의심받는 암호화폐(가상화폐)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가 해킹 세력으로부터 비트코인을 회수한 사건은 탈중앙화와 거래 은밀성이란 상징성을 희석했다. 중국마저 암호화폐 관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폐쇄 등 적대적 공세에 나서면서 암호화폐 시장 자체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비트코인은 8일 오후 2시30분 기준 국내 거래소 업비트에서 전날 고점 대비 11.1% 급락한 3776만9000원을 기록했다. 비트코인이 가격이 3700만원대로 떨어진 건 지난 2월 3일 이후 126일 만이다. 미국 거래소에서도 3만2494.12달러를 기록하며 내림세다. 갖은 악재에도 4000만원 선만은 지켜왔으나 이날 속절없이 무너진 것이다.

우선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게 한 원인으로 꼽힌다.

그는 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 너무 낮은 금리와 10년 동안 싸워왔다”며 “정상 금리로 돌아가는 것이 지금 상황을 조금이라도 완화해줄 수 있다면 나쁜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펼쳐진 ‘제로 금리’ 시대가 끝난다면 과잉 유동성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인 암호화폐 시장도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미 법무부와 FBI가 지난달 랜섬웨어 방식으로 송유관 회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을 공격해 거액을 뜯어낸 해킹세력 다크사이드로부터 ‘몸값’을 회수한 사건도 악재로 작용했다.

7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FBI는 다크웹을 탐색해 다크사이드의 비트코인 전자지갑을 특정, 몸값으로 지급된 비트코인 63.7개(약 25억원 상당)를 회수했다. 문제는 FBI가 어떤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몰수했는지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비트코인의 최대 장점 중 하나가 ‘탈중앙화’라는 점을 고려하면 본질적 기능이 위협당한 것이나 다름없다. 수사·정보당국에서 언제든 거래 내역을 들여다보고 자산 동결 및 통제 조치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암호화폐 채굴과 거래를 전면 금지하며 하락장을 주도한 중국에서 암호화폐 관련 주요 소셜미디어(SNS) 계정이 차단된 것도 영향을 줬다. 중국 최대 SNS인 웨이보는 지난 주말 채굴업자, 거래업체, 인플루언서, 트레이더 등 암호화폐 관련 계정을 전면 차단했다.

특히 이번에 차단된 인플루언서들은 수백만명의 구독자를 거느리며 암호화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코인의 날개 없는 추락에 투자자 유입도 대폭 감소 추세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는 이날 안드로이드 사용자 기준 지난달 업비트 앱 사용 시간이 7704만여 시간으로, 4월보다 1.5%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

지난 12월부터 4월까지 매월 두 배에 가까운 사용시간 증가율을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급감했다. 또 다른 거래소 빗썸 앱 이용시간은 991만여 시간으로, 전 달 대비 16.7% 줄었다.

김지훈 전웅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