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욱(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건설 중단 상태인 신한울 3·4호기의 건설 재개는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원전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있는 한 국내 원전 정책 변화는 힘들다고 못박았다. 대신 원전 기술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미 정상회담에서 언급했던 해외 원전 시장 공동 진출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원전 정책 변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원전 추가 (건설)에 대해 국민들의 걱정이 있다. 이 부분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힘들다”고 말했다. 추가 원전을 건설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기존 입장에서 변화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 장관은 “모든 분들이 원전이 전기 공급, 탄소중립에 필요하다고 하지만 우리 집 앞에 짓는다고 하면 생각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안전하게 설계해도 자연재해, 인간의 실수로 사고가 날 수 있다”며 “한국 원전은 인구 밀집된 동남권에 많이 있는데 최근 지진도 2번 있었다. 국민이 안심할 수 있어야 원전 방향을 (다시) 잡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세계 최고 수준인 원전 기술력 유지를 위해선 해외 수출을 강조했다. 문 장관은 “미국과의 원전 합의를 통해 해외 수출길을 뚫은 건 우리 원전 산업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해법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수급 부족 현상을 빚는 차량용 반도체에 대해선 “안타깝게도 단시일 내 해결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내년까지 갈 것이란 보도도 있었는데 최대한 수급 문제 없도록 산업부가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