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원대 광주 평동 준공업지역 개발 백지화 논란

입력 2021-06-09 04:07

광주시가 한류 콘텐츠산업에 중점을 둔 4조원 규모의 광산구 평동 준공업지역 개발사업을 전격 취소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지난 3월 3일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개발사업에 관한 협상을 벌여왔으나 한류 콘텐츠 거점 조성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컨소시엄 측이 제출하지 않아 더 협상을 진행하지 않고 법규에 따른 우선협상대상자 취소 절차를 밟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광산구 평동 개발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체험 복합플랫폼 조성과 문화관광 기반 확충을 뼈대로 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광주시와 이견을 좁혀온 컨소시엄 측은 시가 일방적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나서자 난감한 표정이다.

컨소시엄 측은 전체 139만5500여㎡의 개발대상지 가운데 21만㎡에 1만5000석의 대형 공연장과 한류 스튜디오, 인공지능 연구개발센터 등 한류 콘텐츠 시설을 설치·운영하고 8000여 세대의 아파트를 분양해 재원을 충당하는 방식의 개발사업 방안을 다듬어왔다.

협상 결렬에 따라 컨소시엄 측은 참여업체들과 일방적 귀책 사유 해당 여부를 검증하고 개발사업 무산 책임을 묻기 위한 법적 소송 등을 신중히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컨소시엄 참여 업체인 중흥토건이 국토교통부 공모 사업 과정에서 1억원의 비용부담을 떠안고 광주시 공무원 대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등 ‘사전 뇌물’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광주시의 결정을 환영하고 나섰다. 참여자치21은 “광주시의 결단은 시민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고, 시민사회의 합리적 문제 제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광주시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은 “90일간 협상에 최선을 다했지만, 문화콘텐츠 육성과 난개발을 막기 위한 구체적 합의를 이룰 수 없었다“면서 “시와 컨소시엄이 협상에 성실히 임해와 법적 소송 등으로 비화하지는 않으리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