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군불 지피는 옐런

입력 2021-06-08 04:05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5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옐런 장관은 회의 종료 직후 인터뷰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금리인상이 미국에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면서 한국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옐런 장관은 6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가 끝난 직후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다소 높은 금리를 갖더라도 사회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관점에서는 긍정적(plus)”이라며 “미국은 지난 10년 동안 너무 늦은 인플레이션, 금리와 싸우고 있었다. 이제 정상적인 금리환경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옐런 장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내놓은 4조 달러(4441억원) 수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과 금리 인상이 맞물리면서 인플레이션이 초래될 수 있다는 관측엔 선을 그었다.

그는 “팬데믹 상황 구제 조치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내년에 사라질 것”이라며 “정부의 지출 계획 패키지는 연간 4000억 달러(445조4000억원) 수준이기 때문에 과잉 인플레이션과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회의에 참석한 재무장관들이 옐런 장관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했다”고 전했다.

연준 의장을 지냈던 옐런 장관은 코로나19가 누그러지기 시작한 이후 줄곧 금리 인상을 주장해 왔다. 지난달에도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리를 다소 인상해야 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해 조기 금리인상의 여지를 남겼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인터뷰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문제가 될 거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해 금리인상 주장에 힘을 보탰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에 고삐를 당기면서 한국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이날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려 6개월물 채권 금리가 1분기보다 1.37~1.54% 오르면 한국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최대 18억원이 순유출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금리인상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최대 28조8000억원으로 가구당 최대 250만원 이자가 늘어난다”고 발표했다.

한경연은 “미국 금리 인상 국면 앞에서 한국은 금리를 인상할 경우 가계부채 이자 증가, 금리를 동결하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이라는 딜레마를 안게 됐다”면서 “선제적인 금리 인상보다는 국가채무 건전성 확보 및 재정효율화 등의 대책을 세우는 동시에 기업 경쟁력 제고와 고용 확대 등을 통해 민간의 금리 인상 방어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