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유행 한창인데 거리두기 완화 들썩… 풍선효과 우려

입력 2021-06-07 00:05
연합뉴스

빠르게 상승하는 백신 접종률에 비해 코로나19 유행은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접종에 따른 유행 억제 효과는 7~8월에야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시범 적용에 나서는 지방자치단체들은 늘고 있다. 섣부른 방역 완화가 풍선효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전일 대비 556명 늘었다고 밝혔다. 주말 영향으로 8일 만에 500명대까지 다시 떨어졌지만 긴장을 늦추긴 어렵다. 700명대 확진자가 보고된 전날을 비롯해 최근 유행이 정체 양상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30일~이달 5일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확진자는 578.4명으로 전주보다 오히려 16.1명 늘었다.

고령층에서 대규모 접종이 이뤄지고 있지만 유행 억제 효과는 아직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60세 이상 확진자로 한정하면 지난 1주간 하루 평균 107.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전주보다 5.4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아직 예방접종의 규모가 전체 유행을 줄일 정도로 충분하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접종 대상자 수를 볼 때 대략 7월 말~8월 초 이후부터 전체 유행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집단감염도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전에서는 호프집과 교회에서 신규 집단감염이 발생해 누적 관련 확진자가 각각 13명, 15명 나왔다. 광주의 코인노래방과 강원도 횡성의 골프장에서도 집단감염이 새로 보고됐다. 영국발 변이인 ‘알파 바이러스’가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대구에서도 유행이 확산세다. 전날 하루만 해도 유흥주점과 IT 업체 등지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돼 확진자 45명이 보고됐다.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데도 완화된 방역조치를 적용하는 지역은 오히려 늘고 있다. 경북에서는 7일 0시부터 안동과 상주의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가 해제됐다. 경남도는 7일 0시부터 인구 10만명이 안 되는 10개 군 지역에 거리두기 개편안 1단계를 시범적용했다. 손 반장은 “7월 초에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로 전환하면서 한번에 각종 규제가 해소되면 충격이 클 수 있다”며 “시범 적용을 확대하는 조치가 새 거리두기 체계를 연착륙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 단체 및 협회 40곳의 의견을 최종 수렴한 정부는 이달 중순쯤 개편안을 공개할 계획이다.

백신 접종자에게 상대적으로 완화된 방역수칙을 적용함으로써 방역 부담이 커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도 정부는 선을 그었다. 치명률과 위중증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의료 체계에 여유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날 기준 전담 중환자 병상엔 75% 여유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앞으로 예방접종 확대와 더불어 고령층 확진자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모바일 백신 접종 증명서를 사용하기 어려운 고령층은 접종자에게 배부되는 스티커를 활용해 접종 사실을 인증할 수 있을 전망이다. 스티커는 개별 주민센터에서 발급되며, 접종이력과 이름 등의 정보를 기재해 신분증에 붙이는 형태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위조될 우려를 고려해 65세 이상에게만 발급할 계획”이라며 “시스템 개발을 거쳐 6월 말부터 발급하겠다”고 밝혔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