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가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적으로 통용되는 화폐로 지정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각국 정부가 비트코인 등 디지털 코인을 화폐가 아닌 자산으로 정의하는 가운데 나온 파격적인 움직임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역대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2021 콘퍼런스’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다음 주 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어 비트코인 기술을 적용한 금융 인프라 구축을 위해 디지털 지갑 기업인 스트라이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덧붙였다.
CNBC는 현재 부켈레 대통령이 이끄는 여당이 의회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법안이 제출될 경우 통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만약 법안이 시행되면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는 최초의 국가가 된다.
부켈레 대통령은 비트코인의 법정통화 지정 효과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비공식 부문에 있는 이들의 금융 접근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엘살바도르에서는 대부분 경제활동에서 현금거래가 이뤄지고 있으며 국민의 70%는 은행계좌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금융거래 과정에서 불편함이 빈번했다. 그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0% 이상을 차지하는 해외 거주 자국민들의 송금과 관련해 “60억 달러가 수수료로 사라지고 있다”며 “비트코인을 통해 100만 이상의 저소득 가구가 매년 몇 십억 달러의 소득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스트라이크 창업자인 잭 말러스는 콘퍼런스에서 “엘살바도르가 디지털 통화를 법정통화로 채택하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통합적인 개방형 결제 네트워크를 얻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비트코인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준비자산이자 우수한 통화 네트워크”라며 “비트코인은 개발도상국 경제를 명목화폐 인플레이션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