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완주군 합쳐 광역화”… 통합 논의 8년 만에 재점화

입력 2021-06-07 04:05
전북지역 각계 원로들이 3일 전주의 한 호텔에서 전주·완주통합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시민 대토론회를 갖고 있다. 연합뉴스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을 통합해 광역화시키자는 논의가 8년 만에 다시 시작됐다. 두 지자체의 통합 추진 불씨는 이번이 네 번째로 24년 묵은 난제를 풀 수 있을지 주목된다. 또 지방선거를 1년 앞둔 상황에서 시민들이 앞장선 것이어서 출마자들의 입장에 변수가 생길지 관심을 모은다.

전북지역 각계 원로들은 지난 3일 전주의 한 호텔에서 ㈔전주·완주통합추진협의회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통합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추진협의회는 “광주와 전남, 부산·울산·경남을 통합하려는 메가시티 시대에서 인구 100만명의 전북지역 광역시를 만들 대안은 완주·전주 통합뿐”이라며 지역 단체장들과 국회의원·지방의원들의 결단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김병석 전 전북기능대학장을 임시의장으로 선임하고, 윤석길 유네스코 전북회장 등 17명을 이사로 선출했다. 고문과 자문위원 80명도 추대됐다.

예전 두 지자체의 통합 문제는 준광역시 확보의 필요성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이번엔 전북 메가시티 구축 등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전주·완주 통합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에서 신환철 전 전북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전주와 완주의 통합 필요성은 3차례의 통합 과정을 거치면서 충분히 논의됐다”면서 “전북 인구가 180만명이 붕괴된 이 시점에서 완주군과 전주시의 거시적 발전과 전북의 재도약을 위해 통합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주시(인구 65만6900여명)와 완주군(인구 9만1100여명)의 통합 논의는 이번이 네 번째다. 1997년과 2009년, 2013년에 행정구역 통합을 시도했으나 모두 무산됐다. 2013년엔 송하진 전주시장이 통합 후 차기 시장 불출마를 밝히고 적극 추진했으나, 통합 찬반을 묻는 완주 군민투표에서 반대표가 55.4%에 이르러 성사되지 않았다. 두 지역은 원래 한 고장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전주부와 완주군으로 갈라진 이후 1949년 현재의 전주시와 완주군으로 명칭이 바뀐 채 이어지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