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소상공인과 청년 문제 등 민생대책 마련을 건의했다. 하지만 4·7 재보궐선거의 여당 참패 원인인 부동산 민심,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문제 등 문 대통령이 불편할 만한 질문들은 나오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부동산정책 실패에 대해 안타까움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부동산정책이 의도와 다르게 된 부분도 있어서 안타깝다. 그 부분에 대해 보선에서 질책받은 것을 잘 안다”고 말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특히 “코로나19 백신 등 성과를 낸 부분도 많은데 내로남불, 위선, 오만 프레임에 갇혀 잘 보이지 않는다”며 “부정적 프레임이 성과를 덮어버리는 문제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취지로 당부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민주당 초선의원 모임 ‘더민초’는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문 대통령과 약 1시간30분간 간담회를 했다. 간담회에는 초선의원 81명 중 68명이 참석했다. 유영민 비서실장, 이철희 정무수석 등이 자리했다. 21대 국회에서 민주당 초선의원들이 단체로 문 대통령을 만난 것은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나도 초선의원 출신이라는 면에서 동지의식을 느낀다”며 초선의원들을 맞았다.
간담회에서는 민생 개혁이 주요 주제로 논의됐다. 더민초 운영위원장인 고영인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청년들의 공정과 주거 안정,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실직자, 소상공인 지원책을 대통령에게 요청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초선의원들의 건의에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미국도 우리를 최고의 파트너로 생각할 정도로 성과를 내고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국민들의 고통이 있어서 마음이 아프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에 등을 돌린 청년세대를 위한 정책 제안도 나왔다. 장경태 의원은 최저주거기준 환경에서 사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월세나 보증금을 지원하는 ‘청년주거책임제’ 등을 문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조오섭 의원은 지방대학 소멸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주문했다.
다만 초선의원들의 입에서 청와대의 인사 논란이나 조국 사태, 부동산 민심 등 문 대통령 입장에서 곤혹스러워할 만한 발언은 나오지 않았다. 재보선 참패 이후 정부와 당을 가리지 않고 ‘쓴소리’를 내왔던 것과는 다른 기류다.
고 의원은 “(조국 사태를) 대통령에게 질문해야 할 필요성을 못 느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부동산정책에 대해서는 “세금, 공급 문제는 부동산특위가 결론을 낼 것이기 때문에 따로 질의는 하지 않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초선의원들에게 “좋은 가치를 갖고 있는 진보가 정책뿐 아니라 내부적으로 단합하고 외연을 확장할 때 지지가 만들어진다. 그 지지자들과 함께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답하지 못한 정책 관련 초선의원들의 질의는 각 의원실로 서면 답변할 예정이다. 참석 의원들은 이날 문 대통령과 차례대로 1명씩 기념촬영을 했다. 이들은 문 대통령의 서명이 새겨진 시계도 선물로 받았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