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뒤 퇴출된 ‘충청권 지방은행’ 되살리기 시동

입력 2021-06-04 04:05
3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지역 금융 활성화 방안 전문가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1998년 문을 닫은 충청권 지방은행을 다시 살리기 위한 논의가 시작됐다.

충남도는 3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지역금융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고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토론회는 ‘지역경제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금융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열렸다. 도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 배경 및 쟁점 설명, 발제, 종합토론 및 의견수렴 등이 진행됐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금융·산업 관련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발제에서 유성준 충남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이 충청권역 지방은행 설립 관련 제안을 내놨으며,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지역 금융 생태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지방은행이 있는 시·도는 현재 부산과 대구 경남 광주 전북 제주 등 6곳이다. 충청권 지방은행이었던 충청은행은 1997년 발생한 IMF 구제금융 사태에 따른 금융 구조조정으로 이듬해 6월 퇴출됐다.

지방은행이 없어지며 충남은 지역 금융경제 낙후 및 지역 자금의 역외유출, 금융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금융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를 겪었다. 2019년 기준 충남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14조6419억원으로 전국 3위였지만, 역외유출 규모는 25조477억원을 기록하며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주민들에게 분배돼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해야 할 자금이 지속적으로 외부에 새고 있는 셈이다.

도는 지방은행을 설립할 경우 지역 자금을 효과적으로 조달하고, 조성된 자금을 지역경제 발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역 금융 활성화 및 연고·비재무 정보만으로도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토론회로 지방은행 설립 추진을 본격화한 도는 다음달부터 지역금융 활성화 TF팀을 꾸리는 한편 사업 추진 연구지원단을 구성할 방침이다. 지역은행 설립 관련 사항을 충청권행정협의회 의제로 상정해 공동 협약을 체결하고, 합동 토론회와 기자회견도 개최한다.

내년에는 지역은행 설립이 대통령 선거 및 지방선거 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관련 활동을 추진한다. 금융 당국과 정치권 관심 유도를 위해 연구용역과 함께 범충청권 추진단도 발족할 예정이다.

양승조 지사는 “역내 자금을 효과적으로 조달해 지역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금융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 이바지할 든든한 금융 버팀목이 필요하다”며 “지역경제와 상생하고 지역민과 동행하는 지방은행을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