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워런 버핏(사진)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손잡고 차세대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나서기로 했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청정에너지 개발의 일환이다. 게이츠는 차세대 원전이 온실가스 배출을 ‘0’으로 만드는 넷제로(net zero)의 핵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빌 게이츠는 2일(현지시간) 마크 고든 와이오밍 주지사가 주재한 화상회의에서 자신이 설립한 원전기업 테라파워가 버핏 소유의 전력회사 퍼시피코프와 함께 와이오밍주의 한 폐쇄 석탄공장 부지에 핵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확한 부지 장소는 연말쯤 발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게이츠는 “이 원전은 기존 보다 성능이 좋고, 안전하며 비용도 적게 들 것”이라며 “우리는 나트륨이 에너지 산업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테라파워가 개발 중인 원전은 ‘나트륨’을 활용한 소형 핵분열 원자로다. 345MWe(메가와트) 규모로 소듐냉각고속로(SFR) 방식이다. 고속 중성자를 이용해 핵분열을 일으키고, 냉각재로 물 보다 끊는 점이 높은 액체 나트륨을 사용한다. 테라파워 측은 사고가 나더라도 폭발이나 방사능 유출 위험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게이츠는 소형 원전 건설에 10억 달러(1조1000억원) 정도가 투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게이츠는 지난 2월 출간한 저서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에서 “차세대 원전은 이론적으로 원자로를 과열시키는 게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며, 기존 원전의 4분의 1 가격으로 지을 수 있다.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었다.
지난해 말 미국 정부는 나트륨 기술을 시연하기 위해 테라파워에 8000만 달러를 지원했고, 향후 수년 간 추가 자금도 투입키로 했다. 테라파워 측은 원전 건설에 7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차세대 첨단 원자로는 기존 재래식 원료보다 훨씬 높은 비율로 농축돼야 한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핵무기를 원하는 무장단체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