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4대 그룹 대표와의 2일 회동이 국내 투자 활성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면 등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재계에선 기업 투자 관련 인센티브나 규제 완화 등이 단행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문 대통령이 ‘기업의 대담한 역할’을 언급하며 “기업의 앞서가는 결정이 없었다면 오늘은 없었다”고 강조한 부분에 주목하고 있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확실히 투자 관련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반응으로 풀이된다”면서 “향후 정책에 반영될 가능성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4대 그룹 대표들도 회동에서 대미 투자 확대로 국내 투자가 축소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은 “제2의 공장 부지는 국내에 있어 국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대기업들이 앞장서서 나가게 되면 중소·중견 협력업체들도 동반 진출하게 되고 거기에 부품, 소재, 장비까지 수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국내 일자리가 더 창출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 사면 건의에 대해 문 대통령이 “고충을 이해한다”고 언급한 점에도 재계는 반색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 1위인 대만 TSMC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는 등 반도체 위기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의 ‘총수 부재’ 고충에 대한 공감 표시는 재계 건의에 대한 화답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앞서 5개 경영자단체들은 지난 4월 ‘사면 건의서’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다만 구체적인 계획은 불투명하다. 한 관계자는 “이날 자리에서 국내 투자에 관한 언급이 구체적으로 이뤄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