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삼성·현대차·SK·LG그룹 대표를 2일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며 격려했다. 대통령이 기업 대표와 자주 만나 소통하는 것은 기업인의 사기를 북돋울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만 서로 듣기 좋은 덕담만 나누고 끝난다면 너무 비효율적이다. 기업인들이 현장의 고충이나 건의 사항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으면 신속하게 정책에 반영되는 식의 생산적인 만남이 돼야 할 것이다.
이날 오찬은 4대 그룹이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때 4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밝혀 정상외교를 지원한 것에 대해 사의를 표시하는 자리였다. 문 대통령은 “4대 그룹이 함께해준 덕분에 정상회담 성과가 참 좋았다. 공동기자회견 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기업 대표들을) 지목해 소개한 게 하이라이트였다”고 치하했다. 기업들의 대규모 미국 투자로 국내 투자와 고용이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를 대통령이 직접 반박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중소·중견 협력업체들도 동반 진출하고 우리 부품·소재·장비도 더 수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더 많은 기회가 생기게 된다”고 설명했다. 기업 대표들도 국내 일자리 창출 등의 기회를 더 많이 만들겠다고 화답했다.
수감 중이어서 오찬에 참석하지 못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사면 이야기도 나왔다. 청와대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인 최태원 SK 회장 등 3명이 이 부회장 사면 필요성을 에둘러 전했고, 문 대통령은 “고충을 이해한다. 국민들도 공감하는 분이 많다. 기업의 대담한 역할이 요구된다는 점도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달 취임 4주년 특별연설에서 “국민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판단하겠다”고 했던 것보다 좀 더 긍정적인 발언으로 해석된다. 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다. 문 대통령이 형평성과 국민 공감대, 현실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국익의 관점에서 결정을 내리기 바란다.
[사설] 대통령과 기업 총수 회동, 정책으로 이어지길
입력 2021-06-03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