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노동당 서열 2위에 해당되는 ‘제1비서’ 자리를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넘버 2’는 두지 않는 관행을 깨고 2인자 자리를 공식화한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고위 간부들에게 국정운영 권한을 일부 이양하는 이른바 ‘위임 통치’의 연장선상으로 조용원(사진) 당 조직비서가 이 자리를 꿰찰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일 국민일보가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월 제8차 당대회를 통해 당 규약을 개정하며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제1비서, 비서를 선거한다. 제1비서는 당 총비서의 대리인이다’는 문구를 추가했다. 김 위원장이 겸하고 있는 당 서열 1위 ‘총비서’ 바로 아래 제1비서라는 자리를 공식적으로 만들면서 그가 김 위원장을 대신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명문화한 것이다. 제1비서 직함은 김 위원장이 2012년부터 7차 당대회가 있었던 2016년까지 사용했던 것으로 더욱 눈길을 끈다.
김 위원장은 통치 부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김정은 시대 2인자는 용납되지 않는다’는 공식을 깨뜨린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집권한 이래 대소사를 일일이 챙기는 데 따른 심리적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권한을 분산했다는 것이다. 집권 10년차에 들어서면서 권력 장악이 끝났다는 자신감도 이런 결정을 내리는 데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
7명의 당 비서 가운데 제1비서는 김 위원장의 그림자인 조용원이 맡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조용원은 로열패밀리를 제외한 당 고위 인사로서 유일하게 올해 태양절(김일성 주석 생일·4월 15일)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는 등 위상을 과시하고 있다.
또 당 규약은 당원의 의무와 관련해 “조국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적극 투쟁해야 한다”는 대목을 아예 삭제했다. 그러면서 “남조선에서 미제의 침략 무력을 몰아내고 온갖 외세의 지배와 간섭을 끝장내며 일본 군국주의의 재침 책동을 짓부시며”라는 문구를 “남조선에 대한 미국의 정치 군사적 지배를 종국적으로 청산하며 온갖 외세의 간섭을 철저히 배격하고”로 바꿨다. 북한이 적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사실상 내려놓고 두 개의 국가 형태를 지향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빠르게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은 당 조직지도부에서 30년 넘게 일하며 당을 꿰뚫고 있던 조용원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백두혈통’이 아닌 사람들 중 가장 신뢰하는 조용원에게 제1비서 자리를 맡기면서 장기적으로는 이 자리에 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을 앉히는 방안도 고민할 수 있다”고 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