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대권 주자인 이재명(사진) 경기지사가 대선 레이스 초반 ‘서울 공략’이라는 난제에 봉착했다.
경기·호남 지역에서 이 지사 지지율이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서울 지지율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 점이 고민이다. 인구 960만명에 달하는 수도 서울이 대선 핵심 승부처가 되는 만큼 이 지사 측에서도 전략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4·7 재보궐선거에서 드러난 부동산 심판 여론, 이 지사의 정책에 대한 서울시민의 낮은 체감도를 극복하는 게 우선 과제로 꼽힌다.
최근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 결과 추이를 보면 이 지사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여야 선두주자로 경합하는 가운데 이 지사가 윤 전 총장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지난 27일 발표된 리얼미터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 조사를 보면 두 사람 간 격차가 5% 포인트 밑으로 좁혀졌다.
그러나 서울 지지율이 예상만큼 따라와 주지 않고 있다.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 27일 이 지사의 서울 지지율은 21.6%에 그친다. 3월 29일 16.1%에 비해 오르긴 했지만 30%대 지지율을 유지하는 윤 전 총장에게 10% 포인트가량 밀리고 있다. 31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에서도 이 지사의 서울 지지율은 24.1%로 윤 전 총장(33.6%)에게 뒤처졌다.
이 지사가 우세를 보이는 경기·호남 지역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서울과 경기의 표심이 따로 흘러가는 현상을 이례적이라고 본다. 한 여권 관계자는 1일 “통상 서울 지지율이 먼저 움직이면 경기가 뒤따르면서 수도권 지지율이 함께 움직이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 측은 부동산 민심을 첫 원인으로 꼽는다. 이 지사 측 한 의원은 “4·7 재보선 때 폭발했던 부동산 민심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부동산 가격 급등과 세 부담 등으로 악화한 ‘반(反)민주당’ 여론이 서울 내에서 여전하다는 것이다.
여전히 높은 ‘박원순의 벽’에서 원인을 찾기도 한다. 이 지사 측 관계자는 “같은 당이었지만 박 전 시장과 이 지사는 수도권에서 서로 결이 다른 정책을 내놓으며 경쟁하던 관계였다”며 “이재명표 정책 효과를 체감하고 있는 경기 지지율은 오르는데, 이 지사의 강점을 체감할 기회가 없었던 서울에서는 고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기에 국민의힘 소속인 오세훈 시장이 큰 표차로 당선되면서 서울 표심에 소구할 접점 찾기가 더 어려워졌다.
이 지사 측에서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을 고민 중이다. 최근 이 지사가 오 시장의 ‘안심소득’ 정책을 두고 논쟁을 벌인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행보라는 해석이 뒤따른다. 대권 주자도 아닌 오 시장을 논쟁 상대로 삼은 것부터가 서울 표심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설명이다. 여전히 민주당이 절대다수인 서울시의회를 통한 오 시장 견제도 전략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최근 이 지사 측이 ‘박원순계’로 분류되는 의원 지지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는 점도 비슷한 맥락으로 해석된다.
한편 민주당 대권 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마의 벽’으로 꼽히는 5% 지지율을 처음으로 넘어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일 나왔다.
윈지코리아컨설팅이 아시아경제 의뢰로 지난 29∼30일 전국 18세 이상 10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 전 총리 지지도는 5.4%를 기록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