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1일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를 마무리하며 채택한 서울선언문에서 ‘해양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 결속이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한다’고 명시했다. 서울선언문은 정상회의 참가 국가들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실천을 담은 문서다. 문 대통령은 P4G 정상회의를 앞두고 공개된 영상에서 “해양 쓰레기, 해양 폐기물이 굉장히 염려된다”며 해양 환경에 각별한 관심을 보인 바 있다.
문 대통령은 30~31일 주요국 정상급·고위급 47명, 국제기구 수장 21명 등 총 68명이 화상으로 참석한 이번 정상회의 폐회 직전 서울선언문을 채택했다. 선언문은 “우리는 해양이 중요한 자연적 탄소흡수원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해양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해양의 추가적인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 해양 쓰레기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해양플라스틱은 해양생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이다. 평소 해양 환경에 관심이 많던 문 대통령이 강하게 주장해 관련 문구가 선언문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토론세션에서 “한국에서 5월 31일은 바다의 날”이라고 소개하며 해양 보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각국 정상들은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억제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또 기후변화와 사막화, 생물다양성 손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개발도상국의 녹색전환을 지원하기로 했다.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는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 보전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번 정상회의가 6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11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한국의 역할을 국제사회에 부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자평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P4G 서울 정상회의를 통해 기후대응 선도국과 취약국을 포괄하는 기후대응의 의지를 결집했다”며 “한국이 그린 뉴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도국 등에 기후대응의 롤모델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