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파동을 거치며 주식시장은 솟구쳤지만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그에 못 미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상장기업의 주가와 실물경제 영향력의 미스매치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실물경제 대표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코스피지수는 코로나19 위기 직전인 2019년 4분기보다 45.2% 상승했다. 같은 기간 GDP는 0.4% 늘어나는데 그쳤고, 서비스업 GDP 성장률과 고용 효과도 각각 1.0%, 1.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정보통신(IT)업종을 중심으로 제조업 비중이 높지만 실물경제에선 서비스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식시장과 실물경제 산업구조가 다르다”며 “상장기업이 실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수준에 그치는 것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상장기업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실물경제에 끼치는 영향의 미스매치 탓에 주가와 GDP 성장률 간 격차가 벌어졌다는 의미다.
2015~20년 평균 주식시장 시가총액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8.6%이며 서비스업은 27.3%다. 그러나 실물경제에서는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의 비중이 훨씬 크다. 같은 기간 산업별 GDP 비중은 제조업이 36.3%, 서비스업은 51.4%로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고용 비중 역시 제조업은 18.6%에 그치지만 서비스업은 67.3%에 달했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며 이같은 미스매치가 극심해졌다. 2000년~2004년 시가총액 중 제조업 비중은 57.9%였으나 2015~2020년엔 68.6%로 확대됐다. GDP 비중은 35.4%에서 36.3%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고 고용 면에선 21.4%에서 18.6%로 되레 축소됐다.
반면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시가총액 비중이 32.3%에서 27.3%로 줄어든 반면 GDP는 48.6%에서 51.4%로, 고용은 59.4%에서 67.3%로 각각 크게 증가했다. 한은은 “코스피는 실물경제보다 제조업 중심의 상장기업을 대표하기 때문에 코로나19처럼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하면 주식시장과 실물경제 간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코스피는 내수·서비스업보다 수출제조업을 대표하기 때문에 대외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며 “경기예측 면에서도 경기 선행지표로 주가를 이용할 때 우리나라의 주가가 전체 경제가 아닌 제조업 생산과 수출에 대한 정보를 주로 제공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