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로 예정된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에 대해 국민 다수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접종자 일상회복’ 방안 발표 전후로 코로나19 백신을 맞겠다는 의향도 높아졌다. 하지만 전문가 사이에선 마스크 착용 등 핵심적인 개인위생수칙을 유지하면서 방역 조치를 신중히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5~2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아직 백신을 맞지 않은 국민의 69.2%가 접종 의향을 보였다고 31일 밝혔다. 이 비율은 지난 3월과 4월 실시한 1, 2차 조사에선 각각 68%, 61.4%였다. 접종 초기 안전성 논란이 잦아들고 백신 인센티브까지 발표되며 접종 의향이 반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조사에서 국민의 71.9%는 다음 달부터 개편된 방역체계를 도입하는 데도 동의했다.
다만 보다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는 의견도 있었다. 7월 개편안 적용에 동의하지 않은 24.3%의 응답자 중 과반은 오는 11월을 적절한 거리두기 개편 시기로 꼽았다. 계획대로라면 그때쯤 전 국민 70%의 2차 접종이 끝나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83%는 코로나19를 억제하기 위해 방역수칙을 강화하는 데 동의한다고 밝혔다.
향후 추이를 전망하는 국내 연구는 이를 뒷받침한다. 가천대 길병원 인공지능 빅데이터 센터는 백신 접종과 함께 현행 거리두기를 유지하면 하반기 확진자 감소세를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나 7월 시작과 함께 1.5단계 이하의 거리두기를 적용하면 최악의 경우 확진자가 8월 하루 1000명 이상으로 커질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이날 서울 강북구 한 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 30명이 무더기 확진 판정을 받은 것에서 알 수 있듯 집단감염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해당 학교에선 최초 학생 확진자 이외 30여명의 학생과 학부모가 모두 무증상 확진자로 파악됐다. 학교는 오는 14일까지 등교 수업을 중단했고 오는 3일 예정된 ‘6월 모의고사’도 온라인으로 치른다.
효과 좋은 백신을 많은 이에게 맞힌다 해도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 등의 ‘비약물적 중재’(NPI)는 필수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국제 학술지 란셋 감염질환(Lancet Infectious Diseases) 6월호에 실린 논문은 예방효과가 85%인 백신을 접종 대상 성인에게 모두 맞혀도 NPI 없인 감염재생산지수가 1.58일 것으로 예상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다른 백신 인센티브는 괜찮아도 마스크 해제엔 주의해야 한다”며 “개인위생수칙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도 “거리두기를 완화하거나 마스크 착용이 조금이라도 해이해지면 언제든 (유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5~6월 방역 완화에 이은 8월 수도권 대유행 전례를 되풀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환자 수가 급격히 늘지 않도록 보완책을 마련해 하절기 방역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