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이 폐수 측정치 조작 혐의, 매립장 조성 특혜 의혹, 노동자 사망사고 등 잇단 악재로 사면초가에 빠졌다.
31일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등에 따르면 30일 오전 9시 34분 울산시 울주군 고려아연 온산제련소에서 컨테이너 청소 작업을 하던 40대와 30대 노동자 2명이 사망했다. 소방당국은 이들 노동자가 아침부터 재처리 공정 관련 컨테이너를 청소하다가 금속 물질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를 마셔 질식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아연 온산제련소에선 지난 10년간 최소 11명이 목숨을 잃었다.
고려아연은 지난 2017년 폐수에 함유된 특정 중금속 허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자 단속 공무원을 매수해 폐수 측정치를 조작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고려아연은 울산에서 가장 많은 폐수를 방류하고 있다. 하루 최대 방류량은 9300㎡다. 발암물질을 함유한 폐수 측정치를 조작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그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 고려아연 매립장 특혜 논란도 재점화 되고 있다. 고려아연은 최근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빈 공장 용지를 사들여 전용 지정폐기물 매립장(총 9만 6379㎡)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울산시가 다른 폐기물 업체들의 매립장 허가 신청은 불허하고 고려아연 매립장만 허가했다는 특혜 의혹이 일고 있다. 인근 주민들은 환경 오염을 이유로 고려아연 매립장 조성 사업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울산시의회 서휘웅 의원은 “특혜 의혹이 제기되면서 울산시 승인과정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가 진행됐지만 조사 결과 발표는 계속해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혜 의혹을 해소하는 차원에서라도 신속한 발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
▶